카테고리 없음

MR 헤드셋 관련주 TOP7

투자로의여행 2023. 6. 6. 10:51
반응형

오늘 블로그에서는 MR 헤드셋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애플은 본사가 있는 미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애플 파크에서 연례 세계 개발자 회의를 열고 MR 헤드셋 '비전 프로'(Vision Pro)를 선보였다고 합니다.

 

MR은 현실 세계에 3차원 가상 물체를 겹친 증강현실(AR)을 확장한 개념으로, 현실과 가상 간에 상호작용을 하도록 하는 기술라고 하는데요.

 

애플은 비전 프로를 착용형 공간 컴퓨터라고 지칭하며 아이폰 이후의 완전히 새로운 플랫폼의 시작 이라고 강조했는데 아래 블로그에서 MR 헤드셋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덱스터

- 덱스터는영화, CF, MV 등 모든 영상 전반의 시각특수효과(VFX)의 제공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동사는 주로 국내 및 중국 영화제작, 드라마제작 시장을 목표로 하여 VFX 제작물을 납품하고 있음(국내 1위).

 

- 2018년 영화제작사 ‘덱스터픽쳐스’를 자회사로 설립하면서 영화제작 전반으로 사업영역이 확장되었으며, 2021년 9월 광고물제작 및 광고대행을 주사업으로 영위하는 크레마의 지분 67%를 인수하였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3.2% 증가, 영업손실은 340.7% 증가, 당기순손실은 596.9% 증가하였습니다.

 

- 동사는 VR/AR을 원하는 플랫폼과 공공, 교육 컨텐츠 등을 원하는 정부의 발주로 제작이 진행되어 다양한 디지털 어셋을 축적해나가고 있습니다.

 

- 동사가 넷플릭스 포스트 파트너 프로그램에 등록됨에 따라 글로벌 관객의 콘텐츠 기대가 높아지며 기술적 완성도를 높이는 제작사의 투자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라고 합니다.

 

2. 맥스트

- 동사는 2010년 10월 설립되었으며, AR 원천기술 개발 사업을 영위하고있으며, 2019년부터 AR 원천기술을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제조 현장에 적용하여 산업용 증강현실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축적된 AR 및 XR 기술을 기반으로 메타버스 플랫폼 연구개발에 주력, 2022년 11월 XR 메타버스 통합 플랫폼인 '맥스버스(MAXVERSE)' 오픈 베타 버전을 출시하였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3% 증가, 영업손실은 150.7% 증가, 당기순손실은 245.2% 증가, 매출 증가 대비 더 높은 비용 증가로 인해 영업손실 폭이 증가하였습니다.

 

- 영업비용 증가는 사업확대 및 메타버스 관련 연구개발 등을 위한 인원 확중에 따른 인건비, 관련 부대비용 등의 상승에 기인하였으며, 최근 도서콘텐츠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는 (주)북이오를 인수하였습니다.

 

 

3. 세코닉스

- 동사는 광학부문과 필름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종속회사와는 광학사업부문에 대하여 단일부문을 형성하고 있으며, MR 헤드셋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 세코닉스는 1988년 설립한 광학전문 기업으로써, 세고광유한전자, 세코닉스 비나, SAL, SEKONIX POLAND를 종속회사로 거느리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3% 증가, 영업이익은 43.1%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매출원가 부담이 늘었고 판관비 등 고정비용 부담이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 감소하였습니다.

 

- 영업이익 감소 영향으로 당기순이익 역시 적자전환하였으며, 광학사업부문은 원자재가격 상승, 물류비 인상 등 영향을 받으며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습니다.

4. 라온텍

- 동사는 AR/VR/MR (XR) 용 스마트안경, 차량용 HUD, 빔프로젝트등에 사용되는 마이크로디스플레이 및 SoC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이라고 합니다.

 

- 기존 반도체 기업과는 다른 형태의 사업이며 일반 회사로서는 접근이 어렵고 그 사업 자체를 이해하기 위한 비슷한 선도 기업이 국내에는 전혀 없습니다.

 

- 반도체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기존 시스템반도체 또는 지능형반도체와 공통점이 있고 개별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산업 및 광학기술 산업과 연관이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88.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기술선도 제품 개발, 시장 밀착영업 및 기술지원, 해외시장 집중 영업 등의 판매 전략을 통해 매출 확대와 지속적인 시장 확대를 계획하고 있음.

 

- 동사의 주력 기술제품인 마이크로디스플레이가 적용되는 완성품 시장인AR/VR/MR (XR) 분야, 프로젝터, 자동차용 HUD 디스플레이 시장은 규모가 크게 성장하는 시장이라고 합니다. 

 

5. 신도기연

- 동사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등을 개발하여 국내외 기업에 제작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동사의 주요 고객사는 국내 S사, 해외 CSOT 등 중국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회사입니다.

- 세계 최초로 2004년에는 미세 기포를 제거하는 매엽식 탈포기(STA), 2015년에는 곡면(3D)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 할 수 있는 곡면 진공 합착기(3D Laminator) 등을 개발하였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5.2% 감소, 영업손실은 33.4%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디스플레이 패널 수요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주요 경쟁사는 중국 현지업체라고 합니다.

 

- 전년대비 합착기 제품과 용역 및 부품의 수출 매출이 크게 감소하였으며,수소 연료전지 구성품인 스택(Stack) 내의 막전극접합체(MEA)를 진공과 열을 이용하여 합착하는 장비인 Vacuum Press를 개발하여 일부 고객사에 납품하였습니다.

 

6. 이랜텍

- 동사는 휴대폰 부품인 Battery Pack, Case(플라스틱 및 메탈), 충전기를 생산하여 글로벌 휴대폰 업체에 공급하고 있으며, 배터리팩은 본사에서 휴대폰용, 청소기용, ESS용 등을 위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 중국에서 노트북용, 청소기용, 전동공구용 등을, 베트남에서 휴대폰용, 전동공구용 등을, 인도에서 휴대폰용 배터리팩을 생산하고 있으며, TV, 오븐, 전자레인지 등의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글로벌 업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 증가, 영업이익은 124.8% 증가, 당기순이익은 61.3% 증가, 신규사업인 전자담배 디바이스의 매출 증가로 수익성 개선을 하였습니다.

 

- 휴대폰용 배터리팩 제조는 자동화 라인을 지속으로 제작, 개조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있으며, 신흥시장의 공략 등으로 삼성전자는 시장점유율 회복 및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동사의 휴대폰용 부품도 성장세를 회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7. 아이엠

- 동사는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광모듈부품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사업부문은 크게 Optical Solution과 Mobile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지고 있습니다.

 

- 동관아이엠디지탈전자유한공사, 천진아이엠전자유한공사 등 8개 회사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 스마트폰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고 스트리밍 서비스가 보급화되며 동사 제품 수요가 감소함. 그러나 폴더블폰, 5G 스마트폰 등의 등장으로 인해 시장 성장이 기대된다고 합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2%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손실은 3.6% 감소, 스마트폰 판매량 저조에 따른 수주물량 감소 및 종속회사 대손상각비, 원재료비 상승,비용증가로 인한 영업손실이 발생함.

 

- 폴더블폰과 차세대 무선통신 네트워크 5G 스마트폰 출시로 정체기에 접어든 스마트폰 시장에서 고가의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오늘 블로그에서는 MR 헤드셋 관련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