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진단키트 관련주 7종목
오늘 블로그의 내용은 코로나 진단키트 관련주입니다. 해당 관련주에는 휴마시스, 제노포커스, 녹십자엠에스. 바이오스마트, 진매트릭스, 랩지노믹스, 에스디바이오센서, 수젠텍, 진시스템, 씨젠, 씨티씨바이오 등이 있습니다.
미국은 지난 5월 코로나19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3년여 만에 종료하면서 무료로 제공해왔던 코로나 진단키트를 유료로 전환했는데 최근 감염자가 증가하면서 다시 무료 지급으로 돌아섰다고 합니다.
미국 정부는 과거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7억5500만개 이상의 무료 진단키트를 배포했다고 하는데 오늘은 코로나 진단키트 관련주 7종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휴마시스
- 동사는 체외진단 의료기기 생산기업으로, 2017년 하이제2호기업인수목적주식회사와 합병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상장, 주력 제품으로 산부인과/심혈관/감염성/암 질환 등에 사용되는 POCT 자동면역분석장비 'HUBI-QUEN'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면역 분석시약, POCT 면역정량분석기기, 신규마커 개발도 진행하고 있으며, 글로벌 고객사의 다각화로 해외 30여 개국의 해외 제품 등록시스템을 구축하여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9%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매출원가와 판관비도 함께 감소했지만 인건비는 오히려 증가해 영업이익에 부담을 줌.
- 헬스케어 산업에 불고 있는 Bio기술과 인공지능 IT기술의 융합에 대응하기 위해서 모바일 헬스케어 분야의 제품 연구 개발 및 투자하고 있습니다.
2. 바디텍메드
- 동사는 1998년 11월 설립되었으며 2015년 코스닥 시장에 스팩 합병 형태로 상장함. 동사는 면역진단 카트리지 및 진단기기 등 체외진단제품의 연구개발, 생산과 판매를 주요업무로 하고 있습니다.
- 인체의 각종 질환등 영역을 포괄하는 진단카트리지 제품군을 형성하고 코로나 팬데믹 이후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진단할 수 있는 항원진단제품, 타액항원진단제품 등이 추가되긴 했지만, 주요 제품의 매출비중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
- 2023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 증가, 영업이익은 8.6% 증가, 당기순이익은 11.5% 감소. 매출액이 증가하고 동시에 각종 비용이 같이 상승했으나, 매출 상승세가 비용 상승세를 상쇄하면서 영업이익은 증가하였습니다.
- 동사는 추가 개발된 진단플랫폼 등을 통해 특정 시장과 제품에 편중되어 있던 매출비중을 신속하게 다변화해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확보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3. 수젠텍
- 동사는 BT/IT/NT 융합기술 기반 국내 유일의 Lab, POCT, 홈테스트 영역의 진단 플렛폼과 혁신적인 제품을 라인업하여 개발, 판매하는 체외진단 전문회사로 19년 5월 코넥스시장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이전상장하였습니다.
- 동사의 다중면역블롯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알레르기, 자가면역, 치매 검사 등 다양한 제품 개발 및 사업화 진행 중으로 매출구성은 제품 약 99.05%, 상품 매출 약 0.81%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2023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6.1%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는 미국, 캐나다, 브라질 3개국에 의료기기 단일 심사 프로그램 MDSAP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 동사는 20여종의 알러지를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S-Blot(에스블롯) 시리즈와 여성호르몬을 모바일 앱과 연동한 슈얼리 스마트 등 제품을 활용해 성장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4. 바이오스마트
- 동사와 종속기업은 스마트카드, 화장품, 의약품, 주류결제, 도서출판, 진단키트, 중전기/동제품 사업 영역에서 관련 제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한생화장품의 경우 23년 1월 1일부로 제품생산을 중단하기로 하였습니다.
- 라미화장품에서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스마트 카드사업 부문은 PVC 원단등의 원재료를 공급받아 아산공장에 있는 제조설비를 이용하여 생산되고 있습니다.
- 2023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3% 증가, 영업이익은 37.6% 증가, 당기순이익은 169.6% 증가,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급증했고, 동시에 인건비 등 일부 비용이 감소한 덕분에 영업이익의 성장세도 두드러졌습니다.
- 성숙 산업에 접어드는 사업부문의 리스크 헷지를 위하여 이종 업종 간 결합을 통한 시너지 상승을 모색하며 다양한 사업영역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5. 씨젠
- 동사는 인체 및 동식물에서 채취한 검체로부터 유전자 정보가 들어있는 DNA 및 RNA 분석을 통해 질환의 원인을 검출하는 분자진단사업을 핵심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 동사의 기본적인 영업 경로는 국내외 협력 대리점 및 해외법인으로, 이탈리아, 중동, 미국, 캐나다, 독일, 브라질, 멕시코, 콜롬비아, 남아공에 현지 법인 및 지점을 설립하여 지역적 접근 및 직접 관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2023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9.8%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앤데믹 이후 진단키트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며 동사의 매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큰폭으로 감소하여 영업이익이 적자전환 되었습니다.
- 동사는 외형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상품 비중이 상승함에 따라 원가율이 상승과 더불어 팬데믹 기간 동안 높아진 고정비가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6. 에스디바이오센서
- 동사는 2010년 12월 27일 에스디(현, 한국애보트진단)의 바이오센서 사업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설립된 회사로 면역 및 분자진단 연구개발 확대와 경영 효율성 확보를 위해서 2016년 바이오넥스트를 합병하였습니다.
- 분자진단, 면역화학진단, 현장진단, 자가혈당측정 분야에 주력하고 있으며 'STANDARD M', 'STANDARD Q' 등에 대해 연구개발 및 판매를 진행하고 있고 2021년 7월 16일 코스피 시장에 신규 상장하였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6.9%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되었습니다.
- 기업 인수 후 통합된 법인으로서의 사업 전략 공유, 비용집행 효율화, 잠재적 시너지 역량 등을 가다듬는 기간을 통해 안정적인 사업 구조 개선.
- 동사는 VIVO를 지난 23년 2월부터 연결 회계로 인식하기 시작하였으며, 다수의 FDA 허가 획득 경험과 인력, 미국내 영업망, 글로벌 대형 진단 기업과의 네트워크 확보하였습니다.
7. 랩지노믹스
- 동사는 2002년 설립되어 체외진단서비스와 진단제품 개발업을 영위하는 기업임. 코넥스 시장에서 2014년 코스닥 시장으로 이전상장하였습니다.
- 동사는 자체 개발한 BI 플랫폼 기반 암 진단검사 서비스 'CancerSCAN'과 국내 최초 NGS 기반 NIPT 산전 기형아 검사 서비스 'MomGuard' 등을 제공 중으로 연결대상 회사로 벤처창투기업 진앤투자파트너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1.6% 감소, 영업이익은 97.8% 감소, 당기순이익은 88.6% 감소. 주력분야인 분자진단서비스 용역 매출의 부진으로 외형 축소된 상황이며, 고정비 부담 증가 여파로 수익성 또한 하락한 모습.
- 코로나 진정으로 진단키트분야의 성장성은 둔화될 것이나, 분자진단 분야에서의 경쟁력 계속 강화되고 있어 실적 개선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상 코로나 진단키트 관련주 7종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어려운 주식시장 성공투자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