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치매 치료제 관련주 7종목

투자로의여행 2022. 5. 31. 07:30
반응형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적으로 55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기억을 상실하고 전 세계적으로 연간 1조 3000억 달러의 비용이 드는 신경 장애인 치매를 앓고 있다고 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인구 고령화에 따라 2030년에는 7,800만 명, 2050년에는 1억 3,90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고 하는데요.

 

 치매가 65세 미만의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소위 젊은 발병 치매가 전체 치매 사례의 약 10%를 차지한다고 하는데 오늘은 치매 치료제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국전약품 - 치매 치료제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원료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제약회사와 원료의약품회사를 대상으로 원료의약품을 공급하며 원료의약품과 전자소재, 배터리소재 등의 영역에서 케미컬 토탈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해가고 있습니다.

 

- 국전약품은 전자소재 전용공장을 건설하여 2023년 중반부터 부분 가동을 시작하고 2024년 정상 가동을 계획중에 있다고 합니다.

 

출처: 키움증권

 

기업실적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5.9% 증가, 영업이익은 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되었으며, 원료의약품 영역에서의 신제품 판매 증대와 전자소재 중 디스플레이 OLED 신규소재의 상용화 확정으로 매출액 증가하였습니다.

 

- 환율과 원자재 가격상승 및 수급불안 등의 외부 요인에 대해 기술력과 R&D 집중투자 및 해외 연료 공급 네트워크 형성 등으로 대응해 성장추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2. 수젠텍 - 치매 치료제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BT/IT/NT 융합기술 기반 국내 유일의 Lab, POCT, 홈테스트 영역의 진단 플렛폼과 혁신적인 제품을 라인업하여 개발, 판매하는 체외진단 전문회사로 19년 5월 코넥스시장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이전상장하였습니다.

 

- 동사의 다중면역블롯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알레르기, 자가면역, 치매 검사 등 다양한 제품 개발 및 사업화 진행 중으로 매출구성은 제품 99.67%, 상품 매출 0.32%, 용역매출 0.01%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기업실적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6.7% 증가, 영업이익은 54.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되었으며, 동사의 코로나19 항체 신속진단 키트는 미국 FDA EUA, 유럽CE 등의 인허가를 받아 수출되고있습니다.

 

- 한국 식약처 국내 품목제조허가도 획득하였으며, 동사가 개발 완료하고 인허가와 판매가 진행중인 진단키트는 코로나19, 인플루엔자, 임신/배란외에, 자가면역질환등의 다양한 진단키트 및 기기 등을 추가로 개발하고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3. 한국파마 - 치매 치료제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자체 R&D 개발을 통해 정신신경계, 순환기계, 소화기계, 항생항균 등 제조에 강점이 있으며 내분비, 호흡기, 소염제, 당뇨병 등 다양한 질환군의 기타 처방 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 동사는 EU /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수준의 생산시설을 구축하였다고 합니다.

 

출처: 키움증권

 

기업실적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1.3% 증가, 영업이익은 8.9% 증가, 당기순이익은 101.6% 증가하였으며,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습니다.

 

- 동사는 일반의약품 대비 전문의약품 매출비중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고 수익성이 높은 전문의약품 판매량의 증가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연구성과로는 EPPS, OAA, KP201, KP182, KP172, KP173 등이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4. 대웅제약 - 치매 치료제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의 종속회사는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주요종속회사인 한올바이오파마를 포함한 총 13개 회사로 구성.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 주요제품은 우루사, 알비스, 올메텍, 임팩타민, 넥시움 등 다양한 용도의 의약품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영업사원에 대한 디테일 능력향상, 제품차별화 포인트, 선진 마케팅기법 교육 등을 통해 판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기업실적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2% 증가, 영업이익은 423.6% 증가, 당기순이익은 93.4% 증가하였으며, 나보타 매출은 국내 매출이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성장했다고 합니다.

 

- 미국 등에서 보툴리눔 톡신 사업의 법적 불확실성이 모두 해소되면서 해외 매출도 60% 이상 대폭 늘어났으며, 동사는 오픈 콜라보레이션 기반의 전략적 제휴, 투자 유치, 라이센싱 아웃 등 다양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5. 씨티씨바이오 - 치매 치료제 관련주

기업개요

- 동물약품, 인체약품, 사료첨가제 및 단미보조사료, 건강기능성식품 제조, 판매업체로 2002년 2월에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 동사는 미생물발효기술, 약물코팅기술, 약물전달기술등 다양한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기술을 접목한 제품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동사의 매출구성은 인체약품군 약 48.64%, 동물약품군 약 30.22%, 건초사업군 약 21.15%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기업실적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9% 증가, 영업손실은 50% 감소, 당기순손실은 62.4% 감소하였으며, 이자수익 감소, 판관비, 인거비 증가로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 지속되고 있습니다.

 

- 동물약품 사업은 항생제계와 비항생제계 품목의 고른 매출성장으로 지속적인 증가가 발생하고 있으며, AI의 발병에 대비한 소독제를 관납 및 사료회사 등에 유통하는 등 부가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6. 동구바이오제약 - 치매 치료제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1983년 완제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18년 코스닥시장에 상장, 다년간 피부과 시장 처방 1위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 피부과와 비뇨기과 치료제 부분의 오랜 강점을 살려 처방시장에서도 상위권을 점유하고 있으며, 동사는 다양한 제형에 대한 제조 기술력을 바탕으로 CMO(생산대행: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기업실적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4% 증가, 영업이익은 6.9% 증가, 당기순이익은 2% 증가하였으며,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습니다.

 

- 동사는 피부과 처방 1위를 지속적으로 유지. 개량신약, 복합제신약 및 제네릭의약품에 대한 연구개발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관련된 특허 취득에도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7. 바이오스마트 - 치매 치료제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신용카드 제조를 전문으로 하고 있으며, PVC 원단등의 원재료를 공급받아 아산공장에 있는 제조설비를 이용하여 생산한 후 은행과 카드사등에게 납품하고 있습니다.

-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통해 화장품 사업, 진단키트 사업, 프린팅 장비 제조, 판매업,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 주류결제 및 RFID 사업, 도서출판업, 중전기 제작, 수리업을 영위함. 매출은 신용카드 제조 부문 36.5%, 의약품 33.65% 등으로 구성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기업실적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되었으며, 매출원가, 판관비, 인건비등 비용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증가하며 영업 이익이 큰폭으로 상승하였습니다.

 

- PVC 원단, MS TAPE 등 주요 원재료 값이 오르면서 매출원가 비용이 증가하였으며, 전자화폐, 전자인증 등 스마트카드 토탈솔루션 구축 및 제공, R&D 생산성 개선 등으로 지속성장을 노리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본 포스팅은 키움증권의 내용을 참고해 작성된 포스티입니다. 감사합니다.

 

 

신재생에너지 관련주 7종목

신재생에너지가 에너지원 역할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발전 단가 하락과 안정적 공급 문제의 해결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최대한 많은 잉여 에너지를 오랜 시간 저렴한 비용으로 저장하는 기술

just-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