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의료 AI 관련주 7종목

투자로의여행 2023. 5. 16. 19:46
반응형

오늘 블로그 내용은 의료 AI 관련주입니다. 최근 매출 증대에도 불구하고 수가 문제 등으로 적자 행진을 이어오던 의료AI 기업들이 새로운 활로를 찾아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고 합니다.

 

국내 의료 AI 기업들이 사업을 다각화해 나가는 모습인데 AI를 활용한 질병 진단을 앞세웠던 기업들은 최근 들어 의료 관련 분야 뿐 아니라 그 밖에 영역으로까지 손을 뻗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의료AI 기업들이 사업 다각화에 나선 것은 결국 수가와 규제 탓에 기존 분야에서 수익을 내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고 하는데 오늘은 의료AI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신테카바이오

- 2009년 9월에 설립된 바이오 벤처회사로 자체적으로 보유한 바이오 빅데이터 처리 기술과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및 슈퍼컴퓨팅 기술을 통해 AI 신약개발 회사로서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동사의 주요 서비스는 고객을 대상으로 직접 서비스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인 AI 신약 플랫폼 서비스와 유전체 빅데이터 플랫폼 보유하고 있으며, 플랫폼 유지보수 및 업데이트를 담당하는 개발팀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 감소, 영업손실은 32.6% 증가, 당기순손실은 69.6% 감소, 유전체 빅데이터 및 슈퍼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신규 항암제 바이오 마커 발굴, 유전체 정밀의료 서비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 동사는 DeepMatcher®유효물질 스크리닝 서비스(DeepMatcher Hit)을 클라우드 환경으로 고객에게 서비스하는 STB CLOUD를 국내외에 출시하였습니다.

 

2. 브리지텍

- 브리지텍은. AI, 음성봇, 챗봇, 음성인식, 화자인식, AICC, IPCC, 클라우드 컨택센터(CSAP인증), IP기반의 유ㆍ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공급하고 있습니다.

 

- 자사 제품을 활용하여 인프라를 구축한 후 기업고객에게 임대하고 사용하는 기간동안 비용을 지급받는 클라우드 환경의 소프트웨어 임대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전문업체라고 합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8.4% 증가, 영업이익은 25% 증가, 당기순이익은 19.9% 증가. 우리은행 고객센터 재구축, 우리카드 인프라 재구축 등의 계약을 성공적으로 이행 완료함.

 

- 비대면 서비스의 증가로 시장은 AICC(인공지능콜센터)로 전환 중임. 관련 연구개발을 지속하여 기술적 우위를 점하는데 중점을 두며 특히 클라우드 콜센터에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독자서비스의 개발에 역점을 둘 예정임.

3. 셀바스헬스케어

- 동사는 의료진단기기 및 시각보조공학기기 제품 개발 및 판매를 위해 설립, 동사는 체성분분석기와 전자동혈압계 등 의료진단기기 사업부문 '아큐닉(ACCUNIQ)'과 점자정보단말기, 전자독서확대기 등 시각장애인 보조공학기기 사업부문 '힘스(HIMS)'로 구성됨.

 

- 힘스(HIMS) 사업부문의 시각장애인 보조공학기기 국내 시장은 동사가 99%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의료 AI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 감소, 영업이익은 32% 감소, 당기순이익은 7.2% 증가. 원가율 하락에도 불구하고 매출 감소와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줄어듬.

 

- 동사는 국내외 피트니스시장 유통채널을 보유한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국내 피트니스시장공략을 강화있으며, 다양한 글로벌 피트니스 체인과의 공급계약을 통해 해외 시장 확대에도 주력하고 있음.

 

4. 루닛

- 동사의 상호는 설립시 주식회사 클디였으며, 2015년 10월 20일 상호를 현재의 주식회사 루닛으로 변경함. 동사는 현재 딥러닝 기술을 통해 인간의 시각적 한계를 보완하는 판독 보조(AI-assisted detection) 솔루션을 개발하여 상용화하였음.

- 주요 제품 및 서비스로는 암 진단 관련 영상 판독 보조 솔루션인 Lunit INSIGHT와 암 치료 관련 이미징 바이오마커 솔루션인 Lunit SCOPE이 있으며, 의료 AI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8.9% 증가, 영업손실은 10.8% 증가, 당기순손실은 46.9% 감소. 의료영상 기반의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찾아내는 이미징 바이오마커(AI imaging biomarker) 솔루션 개발함.

 

- Lunit SCOPE의 경우 2022년 4월 Lunit SCOPE PD-L1 TPS가 유럽 CE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이외에도 추가적인 인허가를 위해 임상 시험 준비 중.

 

 

5. 딥노이드

- 동사는 의료 진단ㆍ판독 보조 및 질병 조기진단을 위한 솔루션을 개발하는 의료 인공지능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식약처 인허가를 받은 총 15 개의 DEEP:AI(의료 인공지능 솔루션) 제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각종 의료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질환 분류, 병변 영역 검출, 예후 예측 등의 역할을 수행, 이외에도 DEEP:PHI (인공지능 개발툴), DEEP:STORE (인공지능 마켓플레이스) 등을 자체 개발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우믖ㅇ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37.1% 증가, 영업손실은 19.5% 감소, 당기순손실은 39.8% 감소. 불법복제품 판독 시스템 사업의 경우 IT제품, 생활가전, 이미용품, 자동차 분야 등에 대한 인공지능 판독 시스템을 개발 중,

 

- 2022년 이후 상용화 목표. 인공지능 개발 플랫폼 DEEP:PHI를 활용하여 의료 인공지능분야 이외에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산업분야(보안)와 교육분야로의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6. 제이엘케이

- 동사는 2019년 업계 최초로 코스닥 상장된 의료 AI 기업이며, 한국인 뇌 MR 영상센터와 독점 계약으로 10년 이상의 연구 데이터 확보하고 있으며, 의료 AI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 동사는 AI 원천 알고리즘 기술을 기반으로, 뇌졸중의 전 주기에 특화된 AI 솔루션을 보유하여 골든 타임 내에 빠르고 정확한 진단 및 치료방침 결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동사의 주요 제품은 다양한 의료 영상을 한 화면에서 분석하여 뇌졸중 진단 시스템을 지원하는 메디허브 스트로크 등이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8% 감소, 영업손실은 16.2% 증가, 당기순손실은 19% 증가, 의료 인공지능 기술이 비급여 형태로 의료 현장에 빠르게 투입될 수 있도록 글로벌 다각화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 디지털 병리 분석 국책 과제에 선정되어 연세의료원, 강남차병원, 이대목동병원 등 7개의 병원과 70여명의 병리 전문가들이 참여한 프로젝트를 통해 총12개 암종에 대한 디지털 병리 영상 솔루션을 개발중임. 

 

7. 뷰노

- 동사는 2014년 12월 설립되었으며, 의료용 인공지능 진단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임. 동사는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의료 현장에서 의료영상·생체신호 등에 근거한 의료진의 진단행위를 보조하여 정확도를 제고하고 있습니다.

 

- 새로운 진단 및 예측 기술·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으며, 동사의 제품은 진단솔루션, 예후ㆍ예측 솔루션, 서버, R&D 용역제공 등 크게 4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의료 부문의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상용화 하였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8.1% 증가, 영업손실은 13.7% 감소, 당기순손실은 19.9% 감소, 2022년 기말, 진단솔루션 매출 3,550 백만원으로 전년 대비 107% 증가하였습니다.

 

- 2022년 8월 1일, R&D 용역제공이 개시되어 기말 기준 3,066 백만원 매출 인식, 입원환자의 24시간 생체 데이터를 분석하는 VUNO Med-DeepCARS의 예후ㆍ예측 솔루션 매출 916 백만원 인식되고 있습니다.


키움증권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된 의료AI 관련주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