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 관련주 7종목
웹툰은 웹(web)과 카툰(cartoon)의 합성어로 PC, 모바일 전용으로 제작된 만화로 5~10분 이내에 소비할 수 있으며, 웹툰 산업은 크게 플랫폼과 에이전시(기획사/제작 스튜디오)로 이루어집니다.
웹툰 산업은 스마트폰 대중화 등의 이유로 고성장을 했으며 KT경영경제연구소에 따르면 2013년 1,500억 원 규모였던 국내 웹툰 시장은 연평균 31% 성장해 2020년 1조 원 규모를 달성했는데요.
국내 웹툰 플랫폼 기업들은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는 추세이며, 언론보도에 따르면 네이버웹툰은 2021년 1월 캐나다의 웹소설 플랫폼인 왓패드를 인수, 미국 증시 기업공개를 검토 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웹툰의 지식재산권을 활용해 드라마, 영화, 게임 등 2차판권의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는데 오늘은 웹툰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디앤씨미디어 - 웹툰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작가 경쟁력과 자체 편집부를 통해 웹소설과 웹툰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출판, 유통하는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함. 콘텐츠를 전자책으로 변환하여 다수 플랫폼에 제공하여 모바일과 PC로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 중국, 일본, 동남아, 북미 시장에서도 서비스하고 있음. 2020년 웹툰 사업부문을 물적 분할하여 디앤씨웹툰비즈를 설립, 웹툰 제작 및 출판업체 더앤트 주식 4800주를 160억 원에 추가 취득하였습니다.
기업실적
- 웹소설 및 웹툰의 지속적인 신작 런칭과 더앤트 인수를 통한 연결대상 회사 편입, 카카오 웹툰 리뉴얼에 따른 신규 작품 공급을 확대해 내실 있는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 전체 매출에서 웹툰과 해외수출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전략적 협력사인 카카오 엔터테인먼트가 동사의 지분 23.1%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가치 있는 IP의 발굴과 기획, 적극적인 원소스 멀티유즈 전략, 그리고 글로벌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해 지속 성장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2. NHN - 웹툰 관련주
기업개요
- 네이버의 게임사업 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현재 온라인 및 모바일 게임 사업과 간편 결제 서비스 및 웹툰 서비스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동사는 크루세이더퀘스트, 킹덤 스토리 등의 RPG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통해, 다변화된 모바일 게임을 선호하는 이용자들의 기대에 부응하고 있으며, 매출 구성은 결제 및 광고 약 42.52%, 기타 약 33.28%, 게임 약 26.04%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기업실적
-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2% 증가, 영업이익은 3.3% 증가, 당기순이익은 18.3% 증가하였습니다.
- 동사는 모바일 게임 사업을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을 위해 '글로벌 원빌드' 형태의 게임을 출시하고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동사는 보유하고 있는 인프라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온라인 티켓 예매 서비스 등 다양한 신규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3. 키다리스튜디오 - 웹툰 관련주
기업개요
- 현재 웹소설 및 웹툰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를 주된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디지털 라이프를 창조하는 콘텐츠 전문기업으로 사업군별로 보면 웹툰 사업부문, 웹소설 사업부문으로 구성되고 있습니다.
- 웹툰 서비스는 콘텐츠 서비스 이용료가 소액으로 책정되어 판매되어, 구매에 대한 소비자의 진입장벽이 상당히 낮으며, 국내외 경제상황이나 경기변동 등에 둔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업실적
-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5.6% 증가, 영업이익은 90.7% 증가, 당기순이익은 1046.8% 증가하였습니다.
- 비용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매출액 증가폭이 이를 상회하며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 웹툰은 짧은 호흡의 연재 서비스 형태와 스마트 기기에 최적화된 방식이 결합된 스낵 컬처 콘텐츠의 대표주자로 성장하였고, 현재 국내 만화 산업 전체를 견인하고 해외 시장으로도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4. 대원미디어 - 웹툰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만화 및 애니메이션 콘텐츠와 관련한 종합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영위, '유희왕 트레이딩 카드게임'을 제작하여 2004년부터 국내 TCG사업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게임 유통부문은 닌텐도 Wii, 닌텐도 3DS 등 다양한 닌텐도 게임기와 SW를 국내 유통 중이며, 대원방송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프로그램을 보유한 애니메이션 채널인 '애니원'과 '애니박스'를 통해 청소년 및 성인층을 위한 애니메이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업실적
-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3% 증가, 영업이익은 87.7% 증가, 당기순이익은 107.5% 증가하였습니다.
- 매출 증가 및 원가율 감소, 각종 비용의 감소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동사는 국내 TCG사업을 선도해오고 있으며 인기 애니메이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뱅가드' 카드를 제작하고 유통함과 동시에 인기 스포츠와 연계된 스포츠 컬렉션카드를 제작하여 새로운 장르의 시장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5. 네이버 - 웹툰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국내 1위 포털 서비스를 기반으로 광고, 쇼핑, 디지털 간편결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공공/금융 분야를 중심으로 클라우드를 비롯한 다양한 IT 인프라 및 기업향 솔루션 제공을 확대해가고 있습니다.
- 웹툰, Zepeto, V LIVE 등 다양한 콘텐츠 사업을 통해서도 글로벌 사업 기반을 확장하고 있는 ICT 기업으로 네이버파이낸셜, 네이버 클라우드 등 연결대상 종속회사 76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업실적
-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 증가, 영업이익은 9.3% 증가, 당기순이익은 2699.8% 증가하였습니다.
- 팬데믹에 따른 비대면 트렌드의 가속화로 전 사업부문 실적이 고르게 성장하였습니다.
- 2021년에는 Wattpad 인수를 통해 글로벌 1위 스토리텔링 플랫폼으로 진화, 원천 IP 확보를 통한 IP사업 다각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또한 하이브의 자회사인 위버스 컴퍼니와 함께 통합 팬십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입니다.
6. 카카오 - 웹툰 관련주
기업개요
-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메신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커머스, 모빌리티, 페이, 게임, 뮤직, 콘텐츠 등 다양한 영역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2021년 상반기 누적 기준 매출은 플랫폼 부문 51.39%, 콘텐츠 부문 48.61%로 구성되고 있습니다.
- 경쟁사 네이버에 비해 해외 사업 실적이 부진하다는 평가를 받아왔으나 최근 웹툰 플랫폼 픽코마가 일본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개선되고 있습니다.
기업실적
-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9% 증가, 영업이익은 59.5% 증가, 당기순이익은 281.5% 증가하였습니다.
- 매출의 증가가 비용의 증가를 상쇄하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함. 비대면 경제의 성장과 4차 산업혁명에 힙임어 지속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 블록체인 등 미래 기술에도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것도 긍정적인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타 IT 기업 대비 낮은 영업이익률은 단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7. 미스터블루 - 웹툰 관련주
기업개요
- 온라인 만화 제작ㆍ유통업 및 만화출판업 영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동부 제2호 기업 인수회사와 합병하면서 우회 상장, 국내에서 유일하게 웹툰 콘텐츠를 자체 제작 후 직접 유통과 서비스를 담당하는 만화, 웹툰 등 콘텐츠 플랫폼 기업입니다.
- 미스터블루는 황성, 야설록, 사마달, 하승남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EOS게임 인수를 통해 게임사업에 진출하였으며, 게임사업부문을 분할하여 2018년 10월 블루 포션 게임즈를 설립하였습니다.
기업실적
- 자회사 블루포션게임즈의 게임 사업 매출이 감소했고 에오스 레드의 동남아 시장 출시 관련 광고비 증가 및 직원 인센티브 지급 등 일시적 비용 증가로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습니다.
- 온라인 만화 및 웹툰 사업은 자체 플랫폼 가입자 수 및 결제액 증가로 B2C향 매출액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 모바일 게임 전문 퍼블리셔 룽투코리아와 게임 및 웹툰 콘텐츠 사업 협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오늘은 웹툰 관련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팔라듐 관련주 7종목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군사 대치 위험이 고조되면서 러시아 펀드의 수익률이 크게 낮아졌으며, 반면 세계적인 광물 수출국인 러시아가 공급을 틀어막을 수 있다는 불안감에 관련 원자재 상품
just-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