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인산철 배터리 관련주 TOP7
오늘 블로그의 내용은 리튬인산철 배터리 관련주입니다. 최근 LFP 배터리, 리튬인산철 배터리 개발을 위해 민관이 오는 2026년까지 233억원(정부 164억원·민간 69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특히 세계 최고의 에너지 밀도 제품 개발을 위해 기존보다 양극 전극을 두껍게 만들어 최대한 많은 리튬 이온이 셀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연구개발 과제의 주요 목표는 LFP 배터리 양극 소재의 국산화와 세계 최고 에너지 밀도를 가진 LFP 배터리셀 제조기술 개발이라고 하는데 오늘은 리튬인산철 배터리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EG
- 전기차와 가전제품 모터의 자석부품 원료로 사용되는 고순도 산화철을 생산함. 에너지환경분야의 플랜트와 소재사업 등도 영위, 산회수 설비의 설계 및 시공, 운전능력을 모두 겸비하고 있는 세계 유일의 산화철 전문업체입니다.
- 고급산화철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으며, 중국의 TDG, 일본의 TDK 등 우량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고,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업계 선두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산화철(상품)의 내수 판매는 늘었으나, 산화철(제품)과 중탄산나트륨, Al탈산제 등 소재사업, 환경플랜트 등 에너지환경사업이 부진함에 따라 2022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26.7% 감소하였습니다.
- 원가율이 악화되고 인건비 등 고정비용 부담이 늘어남에 따라 영업이익은 85.6억원의 적자로 전환, 전기차의 핵심부품 중 하나인 컨버터에 페라이트코어(전자석, 산화철70%)를 사용하는 신규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음.
2. 코윈테크
- 동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제조업이 필요로 하는 SmartFactory의 필수인 공정 자동화시스템을 제조하는 사업을 영위함. 주력제품인 2차전지 공정 자동화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전체 공정 Full 자동화 개발에 성공하였습니다.
- 현재 글로벌 대형 2차전지 기업들에 납품하고 있음. 2021년 2차전지 소재 및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업인 탑머티리얼의 지분을 인수하여 사업과 연계해 해외 배터리 신규 고객사 수주규모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9.1% 증가, 영업이익은 123.4% 증가, 당기순이익은 11.4% 감소. 고객사별 전담 인원을 배정하여 수주경쟁 우위를 확보중.
- 지속적인 AS대응으로 고객과의 신뢰관계를 구축하고 있어 지속적인 수주를 유도, 2023년부터 차세대 하이망간계 양극재의 샘플 판매를 시작으로 2024년 본격적인 생산과 판매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3. 아모그린텍
- 첨단소재와 기능성 부품 및 환경/에너지 시스템 등의 사업영역을 가진 소재부품 기업으로 2004년 1월에 설립되었으며, 2018년 9월 30일 기준으로 지적재산권 1,068건을 보유하여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고효율자성소재와 방열/나노 Membrane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첨단소재부문과 FPCB, 박막필름 등을 개발하는 기능성 부품 부문, ESS, 수처리와 공기청정 및 환기시스템 등을 개발하는 환경에너지시스템부문이 있습니다.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6.4% 증가, 영업이익은 400.6% 증가, 당기순이익은 325.1% 증가. 동사는 5G, 전기차, IoT, 차세대 디바이스 등 초고속으로 성장하는 부문에 적용되는 다양한 첨단소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검증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우량 고객군을 확보, 기존 고객사인 테슬라 외 추가적인 전기차 완성업자 매출이 추가될 경우 해당 사업무문의 고성장이 기대된다고 합니다.
4. 엘앤에프
- 동사는 2000년 설립돼 2003년 코스닥 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2차전지 양극활물질과 그에 관련된 소재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스마트기기, ESS 등을 만드는 데 쓰임.
- 중국에 위치한 무석광미래신재료유한공사와 경북 김천에 위치한 제이에이치화학공업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대구 달서구와 경북 칠곡군 등에 생산시설을 운영 중임. 매출은 수출 96.97%, 내수 3.03%로 구성됨.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00.4% 증가, 영업이익은 501.8%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대구국가산업단지에 증설하는 등 시장 성장에 맞추어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중임.
- 환율 및 자원보유국, 메이저 기업들의 전략으로 인하여 비우호적인 메크로 환경에도 불구하고 EV용 Hi-Ni 양극활물질 판매량이 대폭 확대되었고 신규 Capa full 가동중임.
5. 자이글
- 2008년 설립된 웰빙가전제품 선도기업 세계 최초의 적외선 조리기기 특허로 자체브랜드 ZAIGLE을 론칭, 2016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 2018년 물류센터와 R&D센터를 신축하여 기술 및 유통 플랫폼을 완비하였습니다.
- 자체쇼핑몰 확장, 온라인 전 채널 입점을 통해 내수를 강화하고 일본을 중심으로 활발한 수출을 진행, 동사는 ‘자이글 슈퍼’, ‘자이글 세븐’ 및 ‘매직프라이어’까지 출시하며 주방 가전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5.9% 감소, 영업손실은 47.6% 감소, 당기순손실은 19.3% 감소, 2차 전지 관련 산업에 주목하여 신수종 사업으로 LFP 배터리 사업을 시작하여 매출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 온라인 채널은 종합몰,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V커머스 등 40여 채널 제휴를 통해 향후 온라인 매출 확대의 기반을 마련하여 매출 성장이 기대됨.
6. 씨아이에스
- 2002년 9월 설립된 동사는 리튬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전극 제조관련 장비를 전문 제작하며 2차 전지 전공정인 Coater, Calender, Slitter, Tape Laminator 및 기타설비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코팅공정에서 기존 열풍 방식의 건조 시스템의 틀에서 벗어나 과열증기를 이용한 건조 방식의 코터를 개발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슬리팅 공정에는 불량 부분을 식별하는 라벨러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1% 증가, 영업이익은 52.2%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의 거래처인 Britishvolt의 법정관리에 따른 충당금 설정(약 114억원)에 의한 일시적 손실이 반영됨.
- 주가 하락으로 인해 전환사채 전환가격과 주가(전환 및 평가시점)간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전환사채 평가손익(약 161억원)이 반감되었다고 합니다.
7. 파워넷
- 동사는 중국 2개, 베트남 1개의 종속회사를 가지고 있으며, SMPS는 가전뿐 아니라 정보통신장비 및 산업용 장비 등 전력변화에 민감한 전자제품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시스템의 심장부 역할을 하는 산업임.
- SMPS는 향후 차량용 반도체, 인포테인먼트 장비, 자율주행자동차 등의 자동차 전장사업 분야로 적용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합니다.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 증가, 영업이익은 3.8% 증가, 당기순이익은 30.2% 감소.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원가의 상승으로 영업이익 소폭 증가, 당기순이익은 감소함.
- 연구개발 활동은 가전용 SMPS 연구를 주축으로 하고 있으며, 이 밖에 신재생에너지, 통신분야, 전장 등 다양한 분야의 SMPS 개발을 위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키움증권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된 리튬인산철 배터리 관련주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