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중장비 관련주, 대장주 6종목 정리
건설중장비는 도로, 건물 등 대규모 인프라 구축 현장과 광산, 농업, 산림 등 다양한 공간에서 굴삭, 자재 운반, 파쇄 등에 사용되는 기계장치로, 건설중장비 업황은 경기 변동에 민감하며, 건설경기와 플랜트 투자수요에 의해 실적이 좌우됨.
건설용 장비는 굴삭기, 로더(바퀴형, 궤도형) , 지게차, 콘크리트 펌프카, 타워크레인 등 27개 기종으로 분류되며, 그중 국내에서 가장 많이 등록된 기종은 지게차 , 굴착기, 덤프트럭, 콘크리트 믹서트럭 순이라고 합니다.
- 서연탑메탈
- 서연 탑 메탈 1987년 2월 5일 설립되어 자동차 금형 및 건설중장비 부품 제조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011년 6월 24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 자동차 금형과 굴삭기 CABIN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금형산업은 제조업에서 부품을 대량 생산하는데 필수적인 생산 기초 요소기술로서 금형의 품질이 관련 제품의 품질과 제조원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반산업임.
- 2021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7% 증가, 영업이익은 329.3% 증가, 당기순이익은 349.9% 증가.
- Cabin류의 매출 증가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매출이 증가, 수익성도 좋아지며 실적이 개선되었으나, 반면 MAIN PNLASSY 부문에서 매출이 감소하여 매출 증가 폭은 제한적임.
- 글로벌 자동차 부품업체로 발돋움하기 위해 해외 여러 완성차 업체의 입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
- 동일금속
- 동일금속은 1984년 설립되었으며 크레인용 트랙슈 어셈블리, 텀블러, 아이들러와 초대형 굴삭기용 트랙슈 등 건설기계 부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
- 크롤러 크레인용 부품은 미국, 일본으로 전량 수출을 하고 있으며, 굴삭기용 부품은 국내 굴삭기 제조업체 3사와 일본 제조업체 2개사에 공급하고 있음.
- 크롤러 크레인에 대한 수요는 그 성장 가능성은 견고하다고 할 수 있으며, 노후화된 장비의 교체 등으로 크롤러 크레인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중임.
- 2021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 감소, 영업이익은 82% 감소, 당기순이익은 232.1% 증가.
- 내수부문과 수출부문 모두 코로나19로 인한 장비 수요의 감소가 원인이며, 최근 국내 굴삭기 제작 3사의 생산계획은 당초 예상 생산대수를 초과하고 있음.
- 미국, 중국을 위시한 유럽지역의 수요 증가에 기인한 것이며 이에 따른 실적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있음.
- 현대에버다임
- 현대 에버다임은 중고 중장비 등을 유통할 목적으로 1994년 7월 1일에 설립되었음. 2021년 3월 사명을 현대 에버다임으로 변경.
- 동사는 콘크리트 펌프트럭, 어태치먼트, 락드릴, 소방차, 타워크레인, 발전기, 락툴 등의 제조 판매와 중장비 매매 및 파일, 토목공사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유압브레이커, 유압 크러셔, 퀵-클램프, 타워크레인, 발전기, 콘크리트 펌프트럭, 소방차, 믹서트럭 등을 주요 제품으로 하고 있음.
- 2021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8% 증가, 영업이익은 81% 감소, 당기순이익은 36% 감소.
- 내수비중이 약 60% 수준이며, 내수시장은 콘크리트 펌프카의 판매가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나, 어태치먼트 및 타워크레인의 매출 증가 영향으로 신장.
- 코로나 19 극복 및국-내외 건설시장 활성화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건설장비 외 군 특장차 사업 및 기타 특장차 사업을 확대 등 적극적인 공략을 추진 중.
- 대창단조
- 대창단조는 1955년 11월 대창 크랭크 단조 공업사로 창업하여 1989년 7월 코스피시장에 상장함.
- 동사가 영위하는 주요 사업으로는 중장비 하부 주행체의 무한궤도 부분인 링크, 슈 등을 가공 조립하여 중장비 생산업체에 OEM 및 A/S 부품을 납품하는 것이 있음.
- 건설 및 토목용 장비산업은 경제적으로 품목이 광범위하므로 다품종 소량생산이 불가피한 대규모의 시설투자가 요구되는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규모의 경제가 요구되는 산업임.
- 2021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6% 증가, 영업이익은 0.1% 감소, 당기순이익은 69.8% 증가.
- 매출액은 증가했으나 원가 부담이 커지며 영업이익은 오히려 소폭 감소하였으며, 원재료 가격 상승 등 변동비의 영향으로 보임. 북미 지역 최근 소형 Dozer 및 Excavator류등이 시장에서 지속 성장하고 있음.
- 도로 작업에 집중과 부동산 활성화로 인하여 세일즈가 점차 늘어나는 중임.
- 디와이파워
- 디와이 파워는 2014년 (구) 동양기전 주식회사 유압기기 사업부에서 인적분할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2015년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 주요 사업은 건설기계장비에 적용되는 유압실린더에 대한 제조 및 판매업으로 주요 거래처는 두산인프라코어, 현대중공업 등이 있음.
- 유압기기는 3월~6월 성수기, 7월~9월은 비수기로 볼 수 있으며 10월~12월은 대규모 국책사업이 완료되는 등의 요인으로 상반기보다 상대적으로 감소.
- 2021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0% 증가, 영업이익은 105.3% 증가, 당기순이익은 154.1% 증가.
- COVID-19의 전 세계 유행과 미중 무역 분쟁, 관련하여 글로벌 저성장 확대 등의 외부요인으로 감소했던 매출의 정상화 진행 중.
- 적극적인 영업활동으로 북미, 유럽, 일본, 중국, 인도의 주요 건기 업체 중대형 굴삭기 실린더시장 공략 및 신규수주를 위한 노력 중.
- 프리엠스
- 프리엠스는 건설 중장비용 MCU, 클러스터, Flasher Unit을 개발하여 일부 모델에 공급을 하고 있음.
- 동사는 본사 공장에 "SMT Line" 생산설비를 구축하였으며 장비 개발 업체들에게도 쉽게 자사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 기계제어사업은 생산설비에 투자할 재원 부족으로 인해 개발된 기술을 두고도 제품화하지 못하는 기업들에게 새로운 활기를 제공할 수 있음.
- 2021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 동사 기술연구소에서는 건설기계용 제어기 관련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신제품 개발로 인해 중소기업에서 할 수 있는 틈새시장 Item을 공략할 계획임.
- 전장사업부에서 생산하는 건설장비용 와이어 하네스 제품은 소량 다품종(1,500여 품목)으로 생산관리에 경쟁력이 있으며 특히 신속한 개발 능력이 가장 큰 경쟁력임.
오늘은 건설중장비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미국도 조 바이든 행정부가 3월 2조 2500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2021년 건설 중장비 시장 수요는 최대 호황기였던 2018년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