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는 최근 크래프톤과 네이버제트가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합작법인 미글루(Migaloo) 코퍼레이션을 설립했다. 디스플레이와 게임, PCB 등 업종별 XR관련주들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국내 증시에서는 XR용 디스플레이와 게임 및 콘텐츠 기업들이 관련 수혜주로 거론되고 있는데 애플의 세계개발자 연례회의(WWDC) 때 애플 MR 헤드셋 출시가 예상되면서 전후방 산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고 하는데요.
애플 MR헤드셋은 신형 맥북에 탑재된 M2 칩에 혼합현실 전용칩, 내외부 10개 이상의 카메라 그리고 OLED 디스플레이가 채택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는데 오늘은 XR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스코넥
- 동사는 'XR(eXtended Reality) 교육ㆍ훈련 사업', '메타버스 VR 게임 사업', 'XR 미래 사업' 등 게임 콘텐츠 개발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가상 서비스 플랫폼에 대하여 자체 연구를 진행하여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를 결합한 복합 센서를 독자 개발함. VR 게임 최초의 건슈팅 게임을 개발, 삼성과의 협력을 통해 세계 최초 VR 게임 ‘모탈블리츠VR’ 상용화에 성공함.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0.4% 감소, 영업손실은 42.4% 증가, 당기순손실은 15.9% 증가하였습니다.
- 오프라인 체험존 구축과 용역 프로젝트 수주의 감소 및 계획되어있던 VR 게임의 출시 전략과 시기의 변동으로 영업수익이 감소하였습니다.
- 신규 게임 개발과 IP 퍼블리싱 사업을 통해 VR 게임사업을 선점할 계획이며, 미술특화 메타버스 서비스 사업을 통하여 XR 미래사업의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합니다.
2. 라온텍
- 동사는 AR/VR/MR (XR) 용 스마트안경, 차량용 HUD, 빔프로젝트등에 사용되는 마이크로디스플레이 및 SoC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입니다.
- 기존 반도체 기업과는 다른 형태의 사업이며 일반 회사로서는 접근이 어렵고 그 사업 자체를 이해하기 위한 비슷한 선도 기업이 국내에는 전혀 없다고 합니다.
- 반도체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기존 시스템반도체 또는 지능형반도체와 공통점이 있고 개별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산업 및 광학기술 산업과 연관이 있다고 합니다.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88.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에 성공하였습니다.
- 동사의 주력 기술제품인 마이크로디스플레이가 적용되는 완성품 시장인AR/VR/MR (XR) 분야, 프로젝터, 자동차용 HUD 디스플레이 시장은 규모가 크게 성장하는 시장입니다.
- 기술선도 제품 개발, 시장 밀착영업 및 기술지원, 해외시장 집중 영업 등의 판매 전략을 통해 매출 확대와 지속적인 시장 확대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3. 인터플렉스
- 동사는 1994년 설립되어 2003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제조업체로 베트남에 위치한 INTERFLEX VINA CO.,LTD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등이 주요 고객사임. 영풍전자, 비에이치 등이 주요 경쟁사로 현지 고객 요구에 따라 중국 및 베트남 출자회사에 CAPA 증설 투자를 진행하는 등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있습니다.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 감소, 영업이익은 715.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전기 대비 신규 모델 제품 매출 증가로 이에 따라 영업이익은 크게 상승하였으며 및 당기순손익도 흑자전환되었습니다.
- 2022년도 신규 모델 판매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당기순손익이 흑자전환함에 따라 관련 수익성 지표가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4. 피엔에이치테크
- 주요사업으로는 OLED 특허소재개발사업과 공동기술개발 및 양산화 사업과 OLED 원료공급사업이 있으며, XR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 OLED 특허소재개발사업은 고굴절 CPL은 공급하고 있으며, 블루 EBL, 저굴절 CPL, 저굴절 HTL, P-Dopant 소재 등을 순차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 공동기술개발 및 양산화 사업으로 레드프라임, 레드호스트, 장수명 블루호스트 재료를, OLED 원료공급사업은 Pd 촉매를 중심으로 OLED 재료업체에 양산공급하고 있습니다.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5.7% 증가, 영업이익은 31.5% 증가, 당기순이익은 108.1% 증가하고 있으며, 제품별 매출 비율은 OLED 소재 89%, OLED원료 4%, 상품 및 기타 7%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주로 직판 형식의 국내 매출이 대부분을 차지, 동사는 다수 제품의 공급물량 증가에 대비하여 진천군 소재 공장의 생산설비를 신축하는 투자를 통해 당사의 생산능력 확장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5. 뉴프렉스
- 동사는 연성인쇄회로 기판(FPCB) 제조 판매사업을 기반으로, 메탈 회로 기판(MPCB-LED 용) 사업을 영위, IT모바일 분야의 리더로서 원스톱 서비스 생산 방식을 적용하여 차세대 소재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 특수 PCB 분야에서 모바일, LED, IT분야의 부품을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차별화된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친환경 그린테크놀러지 비지니스로 각광받고 있는 LED PCB 사업부문을 확충하고 고밀도 인터커넥터 사업부문 자회사 설립.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1.6% 증가, 영업이익은 1065.3% 증가, 당기순이익은 499.9% 증가, 동사는 주요 고객사向 카메라 모듈 점유율이 확대되었고 해외법인의 생산량이 증대되어 고정비 부담이 완화됨.
- 자동차 전장, 전기차 배터리 등이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며, 통신산업도 전세계적으로 성장추세를 걷고 있어 통신용 FPCB 산업의 경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6. 엔피
- 동사는 오프라인 Brand Experience 광고부터 OTT 플랫폼을 통한 온라인 영상 콘텐츠 제작 및 송출, 그리고 XR 기반의 실감형 콘텐츠를 제작하는 크리에이티브 콘텐츠 기업입니다.
- 동사의 사업부문은 브랜드 경험이 이뤄지는 장소와 광고의 형태에 따라 오프라인 BE, 온라인 BE, XR 콘텐츠 3가지로 구분되며, XR관련주로 분류됩니다.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0.2%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손실은 94.3% 감소, 온라인 브랜드경험(BE)과 확장현실(XR) 콘텐츠에 대한 수요 상승과 함께 엔데믹에 따른 오프라인BE 사업 회복.
- 동사는 XR 기반 실감형 콘텐츠 제작 설비 등을 매입, 설치하여 실감형콘텐츠 제작 Capa 확대 및 펜타브리드를 통해 버추얼 인플루언서 시장 진출 계획을 갖고 있어 성장 기대되고 있습니다.
7. 선익시스템
- 동사는 1990년 5월 24일에 설립 되었으며, OLED 장비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소형 OLED 증착기 시장에서 독보적인 전세계 M/S 1위 업체로서 지위를 확고하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 300mm 웨이퍼 양산장비를 생산한 유일한 업체로 경쟁력을 보유 기타 R&D, 물질공급용 및 준 양산을 위한 중.소형 증착기의 경우는 동사의 시장점유율이 약 80% 이상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5% 증가, 영업손실은 12.4% 감소, 당기순손실은 333.3% 증가, 동사는 소형 OLED 증착기 시장에서 독보적인 전세계 M/S 1위 업체로서 지위를 확고하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 대형 OLED 증착기 시장에서도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연구개발 및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최고 기술경쟁력을 인정받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추진하는 '소부장 으뜸기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키움증권의 내용을 참고해 작성된 XR 관련주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