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PCB 관련주 정리

by 투자로의여행 2022. 6. 14.
반응형

고부가 기판 위주로 투자를 확대한 국내 PCB 업계는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반도체 패키지 기판 수요가 폭증하면서 수혜를 입었다고 합니다.

 

반도체 패키지 기판(PCB) 업계가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할 전망이며, 일부 기업은 두 자릿수 최고 영업이익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하는데요.

 

대기업 계열인 삼성전기와 LG이노텍 반도체 기판 사업도 순항하고 있으며, 두 기업의 반도체 패키지 사업 올해 실적은 역대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하는데 오늘은 PCB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심텍 - PCB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인적분할로 설립된 신설 회사로 분할 전 회사인 심텍홀딩스의 인쇄회로기판 제조사업부문 일체를 영위, 글로벌 Big 4 메모리 칩 메이커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과 Big 5 패키징 전문기업 ASE, Amkor 등을 고객사로 확보하여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동사의 제품은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선도기술인 패턴 매립형 기판(ETS)은 2016년 세계일류화 상품에 지정된 바 있다고 합니다.

 

출처: 키움증권

 

기업실적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7% 증가, 영업이익은 94.2% 증가, 당기순이익은 107.1% 증가하였으며, 동사는 코로나19등 불확실성 증대에도 불구하고 서버 및 스마트 모바일향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 매출 성장하였습니다.

 

- 고부가 제품군인 FC-CSP 기판, MSAP 기판이 선방하였으며, 게임기 신제품 출시로 인해 GDDR6 신규 수요와 함께 서버용 메모리모듈의 추가적인 성장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출처: 키움증권

 

2. 대덕전자 - PCB 관련주

기업개요

- PCB는 회로 위에 반도체와전자부품을 실장하여 각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부품으로, 동사는 이러한 PCB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동사는 반도체 및 Mobile 통신기기 등 각 분야에 걸쳐서 첨단 PCB를 공급하고 있으며, 4차 산업을 주도할 5G통신,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기술에 요구되는 대용량, 다기능화, 초박판화에 대응하기 위해 선행기술을 확보하여 첨단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기업실적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3.8% 증가, 영업이익은 721.5%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하였으며, 동사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을 개척하고,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인공지능과 데이터센터, 자율주행 등의 핵심 기술인 FCBGA의 양산출하를 시작하였습니다.

 

- 한 단계 상향된 고부가가치 제품인 Large Body FCBGA를 통해 기술과 품질을 중심으로 사업확장을 할 것이라고 합니다.

 

출처: 키움증권

 

3. 아모그린텍 - PCB 관련주

기업개요

- 첨단소재와 기능성 부품 및 환경/에너지 시스템 등의 사업영역을 가진 소재부품 기업으로  2018년 9월 30일 기준으로 지적재산권 1,068건을 보유하여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고효율자성소재와 방열/나노 Membrane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첨단소재부문과 FPCB, 박막필름 등을 개발하는 기능성 부품 부문, ESS, 수처리와 공기청정 및 환기시스템 등을 개발하는 환경에너지시스템부문이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기업실적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9.2% 증가, 영업이익은 11.6% 증가, 당기순이익은 145.7% 증가하였으며, 동사의 고효율 자성부품은 메탈기반으로 전력변환 장치에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기능으로 전기차 관련 매출이 급격하게 증가할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기존 고객사인 테슬라 외 추가적인 전기차 완성업자 매출이 추가될 경우 해당 사업무문의 고성장이 기대된다고 합니다.

 

출처: 키움증권

 

4. 시노펙스 - PCB 관련주

기업개요

- 나노기술 소재부품 전문기업으로 FPCB사업, 멤브레인 필터 및 수처리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여과기술을 바탕으로 고객의 생산효율성 제고에 대한 솔루션 제공을 목적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이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의 첨단 IT부품분야에 바탕이 됨. 당기말 기준 해외 생산법인 등 총 12개의 연결대상종속법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중 MOGEM USA는 청산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기업실적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4%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되었으며, 외형은 소폭 성장했으나 고부가가치 IT전자부품과 시노텍스(e-PTFE)멤브레인/MB필터 매출 증가 및  베트남 법인 통합과 자동화 설비 확대로 원가와 관리비용 절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하였습니다.

 

- 신규 사업으로 수소연료전지 사업 추진중이며, 혈액투석기 기기 국산화 기술개발 업체로 선정되는 등 헬스메디컬 기기 국산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5. 이수페타시스 - PCB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전자, 전기 제품 핵심 부품인 PCB를 만들어 판매함. 대구에 생산시설을 운영함. ISU Petasys Asia Limited 등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 기존 네트워크 제품군 고다층 기판 생산기술을 응용해 개발한 서버/스토리지 관련 제품군 생산, 판매를 늘리는 등 고부가 제품군 개발에서 성과를 내고 있으며, 코리아써키트와 인터플렉스가 주요 경쟁사라고 합니다.

 

출처: 키움증권

 

기업실적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4% 증가, 영업이익은 266.6% 증가, 당기순손실은 73.3% 감소하였으며, COPPER FOIL 등 주요 원재료 값이 뛰며 매출원가가 증가했지만 매출 증가폭이 비용 증가폭을 웃돌며 영업이익이 크게 개선됐습니다.

 

- 창사 이래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함. 핵심사업인 네트워크 PCB에 집중하기 위해 연결대상 회사 이수엑사보드 사업 철수를 결정하는 등 경영 효율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6. 코리아써키트 - PCB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PCB를 제조, 판매함하고 있으며, 국내 종속기업 중 테라닉스는 특수PCB를, 인터플렉스는 FPCB를, 시그네틱스는 반도체 패키징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해외 종속기업은 PCB 제조업을 영위함. 경기도 안산과 베트남 등에서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매출은 PCB 49.32%, FPCB 31.39%, 반도체 패키징업 18.95%, 기타 0.34%으로 구성,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 등이 주요 고객사라고 합니다.

 

출처: 키움증권

 

기업실적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7.9% 증가, 영업이익은 535% 증가, 당기순이익은 385.7% 증가하였으며, 첨단 신규 PKG 제품인 FLIPCHIP LINE을 증설 및 가동에 따라 매출 증대에 크게 기여 하고 있습니다.

 

- 시장변화에 따라, 수익성이 낮고, 시장점유율이 퇴조하는 PDIP/SOIC 제품 등의 수주를 지양하고 부가가가치가 높은 제품 위주로 영업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7. 이브이첨단소재 - PCB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연성회로기판 제조, 판매 및 수출입 영위하는 업체로 연태아특전자유한공사, 쿼츠를 계열회사로 소유, 동사가 개발, 생산하는 FPCB 제품의 주요 목표시장은 휴대폰, 태블릿 PC, PDP 모듈, LCD 모듈, 터치스크린 모듈, 카메라 모듈, LED 모듈, PDP TV, LCD TV 등의 시장입니다.

 

- LG 계열사의 안정적인 고객사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거래처 다변화에 노력한 결과 희성전자, 삼성전기 등 안정적인 신규 거래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기업실적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8.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39.4% 증가하였으며, 동사는 신규 거래처의 수주로 인한 매출 및 영업이익이 확대 되었습니다.

 

- 종속회사(베트남법인)의 생산활동 증가에 따른 원가절감 효과로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해외법인(베트남) 가동률을 증가로 추가적인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노력 중이며 두 번째 해외 생산거점으로 활동 할 예정입니다.

 

출처: 키움증권


본 포스팅은 키움증권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된 포스팅입니다. 감사합니다.

 

 

스마트카 관련주 정리

스마트카는 자동차 기술에 ICT를 접목시킨 자동차를 말하며, 운전자는 차 안에서 오락, 정보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자동차가 스마트폰처럼 진화하는 가운데 최근 자동

just-t.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