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는 1000대의 로봇이 1000개의 각기 다른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AI가 필수라고 하는데요. AI로봇 관련주에는 유진로봇, 휴림로봇, 로보로보, 티로보틱스, 에스피시스템스, 싸이맥스, 레인보우로보틱스 등이 있습니다.
최근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차세대 유망 산업으로 손꼽히는 인공지능(AI)·로보틱스(로봇공학) 분야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선보여 주목을 받기도 했는데요.
최근 글로벌 빅테크를 중심으로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생성형AI를 넘어 장기적 관점에서 미래 로봇 시장에 대한 연구개발(R&D)을 진행하는 모습이라고 하는데 AI로봇 관련주 7종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유진로봇
- 동사는 현재 지능형 서비스 로봇 등 판매, 제조를 영위하고 있으며, 자율주행 솔루션 부문과 청소로봇 부문, 산업자동화 설비 시스템 부문으로 구성되고 있습니다.
- 자율주행솔루션 부문은 고카트, 라이다센서, 로봇자동화 패키지 등의 사업이 있고, 청소로봇 부문은 아이클레보 오메가, 아이클레보 지니 등이 있습니다.
- 산업자동화 설비 시스템 부문의 사업분야는 반도체와 자동차 부품의 조립검사 시스템을 공급하는 사업분야로 나누어진다고 합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6.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되었으며, 전년 동기 대비하여 매출액이 감소하였고, 이로 인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적자전환하였습니다.
- 물류로봇, 라이다센서 등을 포함한 자율주행 솔루션 및 서비스 로봇의 해외수출 확대에 집중하는 중으로 2022년 8월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코리아와 30억원 단일 판매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2. 티로보틱스
- 동사는 2004년 설립이후 구축한 글로벌 진공로봇 전문기업에서, 자율주행과 의료재활 분야에 대비한 종합로봇기업으로 변화를 하고 있습니다.
- 티로보틱스의 주요 사업으로는 글로벌 FPD/Semi제조사 및 장비사를 고객으로 확보한 진공로봇 부문과 4차산업혁명을 대비한 스마트팩토리 및 자율주행로봇 부문으로 나뉜다고 합니다.
- 특히 자율주행로봇 부문은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로봇과 일본 ZMP 협력으로 확보한 자율주행솔루션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7.9%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되었으며, SK ON향으로 약 295억원 규모의 AMR 로봇 공급 계약 체결에 이어 또 한번의 수주를 공시하였습니다.
- 동사는 디스플레이 업황 변화에 민감한 사업 구조로 인해 실적 변동성이 큰 문제를 줄이기 위해, CB를 통해 자금 확보 및 반도체, 물류, 재활 로봇 등 신사업을 진행하며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3. 레인보우로보틱스
- 한국과학기술원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의 연구원들이 창업한 전문 벤처기업으로 한국 최초의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인 'HUBO' 가 회사의 근간이라고 합니다.
- 제품군은 크게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플랫폼, 협동로봇 및 천문 관측용 마운트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AI로봇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 로봇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초정밀 지향 마운트를 개발하였으며, 취미 활동가, 전문가뿐만 아니라 최근 군사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마운트를 개발하여 시장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8%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2103.8% 증가하였으며, 매출은 감소하였고, 주식보상비용 발생으로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 동사는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을 개발하기 위한 핵심 부품 및 요소 기술을 내재화하여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설계된 이족보행 로봇은 주로 선진국에서 연구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4. 휴림로봇
- 동사는 1999년 설립된 산업용 및 지능형 로봇 생산업체임. 동사의 공장은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사는 산업용로봇(제조업용로봇) 및 지능형로봇(서비스로봇)을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국방용 로봇, 기타 신규사업 등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으며, 동사가 생산하는 제조업용 로봇은 직각좌표로봇, 수평다관절로봇, 데스크탑로봇, 반도체용로봇, 리니어스테이지 등이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4.3% 증가, 영업손실은 65.3%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되었으며, 전년 동기 대비하여 매출액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이를 통해 영업손실 폭을 줄이는 데에 성공하였습니다.
- 그러나 관계기업 투자손실 및 기타비용 등으로 인해 당기순이익은 적자전환하였으며, 5G통신을 접목한 지능형서비스 로봇 'TETRA-DSV’을 통해 서비스로봇 시장에 본격적인 진출 예정이라고 합니다.
5. 유일로보틱스
- 동사는 2011년 설립되어 산업용 로봇 및 플라스틱 사출 형성에 적용되는 사출 주변기기(스마트기기)의 제조와 판매 및 오토피딩시스템과 냉각시스템 등을 통한 자동화 시스템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직교(취출)로봇, 다관절로봇, 협동로봇과 같은 산업로봇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으며, 사출 자동화시스템 및 산업용 로봇 기술을 기반으로, 최근에는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 중에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8.9% 감소, 영업손실은 887.8%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되었으며ㅡ 적자 전환의 주요 항목으로는 매출 급감 및 환율 및 물류비 등의 증가, 경상연구비 및 인건비 증가 등으로 나타남.
- 로봇 중심의 자동화 시스템을 중심으로 전방산업 즉, 전기차 및 2차 전지로 확대되는 자동차 산업 및 고급화 되는 가전 산업에 대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6. 로보스타
- 동사는 1999년 직각좌표로봇과 수직다관절로봇등 산업용로봇의 개발과 제조 및 판매업을 목적으로 설립, 2023년 1분기말 현재 동사의 주요주주는 LG전자(33.4%)라고 합니다.
- 동사의 사업부문은 Robot 사업 부문과 System Engineering 사업 부문으로 구분되며, Robot 사업 부문은 전방위 산업의 제조용 로봇 공급을, System Engineering 사업 부문은 공정장비 및 로봇 기반의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4% 감소, 영업손실은 155.8%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되었으며, 전년 동기 대비하여 매출액이 감소하였고, 이로 인해 영업손실 폭이 증가하였고 당기순이익은 적자전환하였습니다.
- 동사의 각 사업부분별 취급하는 제품은 모두 산업경기의 흐름에 영향을 받는 품목으로 전방 산업의 설비투자의 증감에 따라 매출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7. 에스피시스템스
- 동사는 1988년에 설립되어 로봇자동화 제조 시스템 구축, 일반 산업기계의 제조, 판매 및 부속기기 제조, 판매업 등을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동사는 갠트리로봇을 포함한 로봇자동화시스템의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 디스플레이, 공작기계 산업 분야 등 다양한 산업의 제조현장에서 제품 또는 소재의 자동 이송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폭 넓게 사용되는 자동화시스템을 주축으로 하는 산업자동화 시스템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2%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되었으며, 동사는 직교형 갠트리 로봇의 고속주행 고정밀 높은 공간효율성을 결합한 로봇 갠트리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 AI 분석 솔루션, Cloud MES 솔루션, Smart Platform, Smart IoT 등 다양하고 고도화된 자체 솔루션과 인공지능과 연계된 솔루션을 보유하여 중소형 고객들에 표준화된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키움증권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된 AI로봇 관련주 내용이였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