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블로그의 내용은 원통형 배터리 관련주입니다. 관련주에는 상신이디피, TCC스틸, 케이엔에스,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레이크머티리얼즈, 동원시스템즈, 나인테크 등이 있습니다.
테슬라가 채택한 4680 원통형 배터리는 2170 배터리보다 에너지 용량은 5배, 에너지 밀도는 10% 늘었으며, 출력은 6배 개선돼 전기차 주행거리도 16% 늘어난다고 하는데요.
원통형’의 장점은 열 폭주에 비교적 안전하며, SNE 리서치에 따르면 최근 발생하는 배터리 사고는 배터리 팩 안의 특정 배터리 셀 열폭주가 계기가 된다고 하는데 원통형 배터리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상신이디피
- 동사는 2차전지부품 개발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2년 설립되었음. 2023년 2분기말 현재 2차전지생산/판매 단일 영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동사가 취급하는 제품은 휴대폰용 2차전지 부품인 CAN(원형), 자동차용 2차전지 부품인 CAN(중대형), 그 외 소형각형CAN, CID, TAB 및 단자류 등이 있음. 주거래처인 삼성SDI에 대한 납품점유율이 타 경쟁사 대비 우월하다고 합니다.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4% 증가, 영업이익은 3.5% 감소, 당기순이익은 59.9% 증가, 리튬이온 2차전지는 중국, 인도 등 신흥 시장의 노트북PC, 휴대폰 수요의 견조한 성장세 등에 힘입어 지속적인 수요증가가 전망되고 있습니다.
- 삼성SDI에서 진행중인 PHEV/EV용 2차전지CAN의 개발업체로 선정되었으며, 중대형CAN용 2차전지 CAN 개발 완료하였으며 현재 양산 진행한다고 합니다.
2. TCC스틸 - 원통형 배터리 관련주
- TCC스틸은 식음료 및 산업 포장용기와 전자제품에 쓰이는 전기주석도금강판·전해크롬산처리강판·전기동도금강판·전기니켈도금강판·라미네이트강판 등을 생산하는 표면처리강판 전문제조업체입니다.
- 주 수요자는 제관업체, 왕관업체 및 가전업체 등이 있으며, 국내 전기주석도금강판 시장은 국내 3개의 석도사가 공급하고 있는 시장구조로 영업안전성이 높은 편이라고 합니다.
- 매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62%로 동아시아 지역 및 미주지역 등 다양한 국가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7% 감소, 영업이익은 80.6%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의 76.6%를 차지하는 표면처리강판 사업부문의 매출이 9.98% 감소함에 따라 전체 매출이 감소하였습니다.
- TCC스틸은 이에 반해 운반비가 21.6억 증가하는 등 판관비가 증가함에 따라 영업이익은 증가, 니켈 도금 설비를 도입하여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신시장 개척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노력중입니다.
3. 케이엔에스
- 동사는 2006년 4월 설립되어, 원통형 CID 장비 및 BMA 자동화 설비를 전문으로 제조하고 있습니다.
- 케이엔에스는 그 외에 자동화 장비 설계 및 생산에 주력하는 동사 특성상 자동차부품(도어커넥터, 터미널압입기), 반도체 부품 진공포장기 등 다양한 자동화 장비 제품군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 동사는 LGES, 삼성SDI 1차 벤더와 SK 온에 BMA 완제품을 납품하는 업체를 주요 고객처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 2023년 3분기(가결산) 기준 매출액 비율은 원통형 CID장비 67.76%, BMA 자동화설비는 20.98%, 반도체, 자동차부품장비 등이 8.96%임. 2020년 7월 사업목적에 마스크 관련 사업을 추가하였습니다,
- 기존 사업의 집중을 위해 마스크 관련 개발장비까지만 제작하고 사업을 중단, 변화하는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베트남 자회사를 거점으로 글로벌 진출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4. 삼성SDI - 원통형 배터리 과련주
- 동사는 중ㆍ대형전지, 소형전지 등의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생산/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삼성SDI는 자동차용 중형전지는 고효율, 고용량 리튬이온 2차전지를 개발하고 이를 자동차 완성업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 소형전지는 원형, 파우치 등의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 Note PC, 전동공구 등의 휴대 제품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전지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1% 증가, 영업이익은 0.3% 증가, 당기순이익은 12% 증가, 에너지솔루션 부문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3조 1,831억원(26%) 증가하였습니다.
- 대형전지는 국내 및 해외 국가들의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정책 영향으로 높은 성장이 지속, 동사는 2026년부터 2032년까지 7년간 현대자동차의 차세대 유럽향 전기차에 들어갈 배터리를 공급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함.
5. 레이크머티리얼즈
- 동사는 국내에서는 유일한 TMA 제조 가능 업체임. 유기금속화합물 설계 및 TMA 제조기술을 기반으로 LED, 반도체, 디스플레이, Solar소재 및 석유화학 촉매로 이어지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 동사의 매출구성은 반도체소재 약 53.61%, , Solar 소재 약31.86%, 석유화학촉매 약 9.04%, LED소재 약 4.94%, 기타 약 0.55%로 이루어져있습니다.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4% 감소, 영업이익은 19.5% 감소, 당기순이익은 4.1% 감소, 동사의 촉매사업은 국내 POE 업체들의 증설 추진, 메탈로센 촉매의 침투율 증가 및 해외 고객사 확보 등으로 성장이 기대됨. .
- 배터리의 핵심인 황화리튬을 고가 원재료 없이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개발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고 이는 전고체 배터리 물질 생산으로 이어 질 수 있어 매출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6. LG에너지솔루션 - 원통형 배터리 관련주
- LG에너지솔루션은 LG화학에서 분할되어 신설되었으며, EV, ESS 등에 적용되는 배터리 제품의 개발, 제조, 판매 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EV용 배터리의 경우 경쟁사 대비 앞선 개발과 공급 및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Global 자동차 OEM 대부분을 고객으로 확보하였으며. 2023년 3분기 기준 세계시장에서 EV용 배터리 점유율 14.3%를 차지하고 있음.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0.9% 증가, 영업이익은 43.2% 증가, 당기순이익은 148.9% 증가, 2023년 3분기 신·증설 투자 및 품질 강화 투자 등에 총 7.6조원을 사용하였습니다.
- LG에너지솔루션의 CAPA는 41조원으로 수주량 소화를 위해 생산설비 투자를 집행해 나가고 있으며, 신규 전기차 수요 증가와 EV용 원통형 수요 확대 및 원가 상승분의 판가 인상 반영을 통해 매출 및 영업이익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7. 나인테크
- 동사는 2007년 6월 18일 설립되었으며 교보7호기업인수목적과 2020년 4월 9일(합병등기일) 합병을 완료한 후 사명을 나인테크로 변경함. 이차전지 설비와 반도체 장비, LED 설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주요제품 매출구성은 전체 매출의 약 52%가 이차전지가 약 31%를 디스플레이가 차지하고 있으며, 반도체 장비 부품 국산화, 에너지저감 시스템 등의 신규 사업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있습니다.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0.9%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손실은 1480% 증가하였습니다.
- 기계공학을 전공한 인력을 주축으로 Lamination장비 설계부터 제작, 납품까지 2차전지 생산 공정에 관한 높은 이해도 및 프로세스를 자체 인력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 Lamination 및 Stacking 장비의 경우 “LG화학”의 국내(오창) 공장을 비롯하여, 폴란드, 중국의 공장에 납품으로 매축액 증대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이상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4680원통형 배터리 관련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성공투자 하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