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D 낸드 관련주 7종목

by 투자로의여행 2024. 7. 7.
반응형

오늘 블로그의 내용은 3D 낸드 관련주입니다. 관련주에는 원익IPS, 한솔케미칼, 피에스케이, 원익머트리얼즈, 디엔에프, 유진테크, 제우스, 삼성전자, 심텍, 후성, 케이씨텍, 유니테스트, 한양이엔지, 테스, 테크윙 등이 있습니다.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AI발 수요 급증으로 데이터센터의 AI 서버 등에 들어가는 기업용 SSD 수요도 덩달아 증가하면서 D램에 이어 낸드의 공급 부족이 가시화될 전망이라고 합니다.

 

메모리반도체 업계의 실적 골칫거리였던 낸드 사업이 인공지능(AI)발 수요 확대 등으로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를 중심으로 공급 우위 현상이 짙어지고 있는데 3D 낸드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원익IPS

- 인적 분할로 설립된 신설회사로 2016년 5월 재상장, 분할 전 회사인 원익홀딩스가 영위하던 사업 중 반도체, Display 및 Solar 장비의 제조사업부문을 담당 하고 있습니다.

 

- 2019년 2월 원익테라 세미콘 합병으로 국내 대형 장비 기업으로 도약, 사업 부문 구성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및 장치 유지 보수에 필요한 부품, 그리고 기술용역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3% 감소, 영업손실은 149% 증가, 당기순손실은 234.5% 증가, 전방 산업의 투자에 따라 삼성전자 평택 공장의 ALD 장비의 수주가 증가하였습니다.

 

- 그러나 실제 인도까지 매출 감소는 불가피하며, 하반기에나 매출로 인식 가능. 평택 진위3산업단지에 부지면적 2만2520㎡규모의 신사옥 준공, CAPA 2배 이상 증가 예정입니다.

 

 

2. 한솔케미칼 - 3D 낸드 관련주

- 동사는 정밀화학 제품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지 및 섬유에 사용되는 과산화수소, 섬유에 사용되는 차아황산소다, Polymer 합성시 중합개시제로 주로 사용되는 BPO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 제지/환경제품으로 제지산업에서 부재료로 사용되는 라텍스외 제지약품, 폐수처리 등에 사용되는 고분자응집제 등을 생산, 주요 매출처로는 삼영순화, 한솔제지, 삼성디스플레이 등이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3% 증가, 영업이익은 2% 감소, 당기순이익은 13% 증가, 동사의 정밀화학 제품의 매출액은 49,045백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 감소하였습니다.

 

- 제지/환경 제품의 매출액은 25,708백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7% 증가하여 전체 매출액 하락을 방어, 다양한 GRADE 개발로 수요처의 요구 품질 수준에 적극 부응하여 판매 극대화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3. 피에스케이

- 동사는 피에스케이홀딩스에서 전공정 장비 부분만 독립하여 설립 된 반도체 장비 회사로 PR Strip 장비 글로벌 1위 기업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외 글로벌 업체들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 램리서치(미국), Mattson Tech(중국), 히타치(일본) 등과 경쟁하고 있으며, 주요 사업 부문은 반도체 공정 장비 부문과 기타 사업 부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1% 감소, 영업이익은 89.6% 증가, 당기순이익은 87% 증가, 비용 대비 이익률이 좋은 중국향 매출이 증가하였고, 신규 장비 매출도 증가하며 하회한 매출 대비 이익률이 증가 하였습니다.

 

-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회복 기조에 있으나 설비 투자까지 기조 확대는 시간이 필요, 다만 24년 메모리 반도체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4. 원익머트리얼즈 - 3D 낸드 관련주

- 동사는 고순도 특수가스를 생산하고 있으며 제품으로는 N2O, NH3, F2 mix, C4F8, Xe 등이 있고 상품으로는 CO2, Si2H6, GeH4 Mix, CH2F2 등이 있습니다.

 

- 동사가 생산하는 고순도 특수가스는 글로벌 Major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회사에 납품하고 있으며, 반도체의 메모리(DRAM, NAND), 비메모리, 디스플레이의 OLED, LCD를 생산하는 과정에서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3.3% 감소, 영업이익은 30.6% 증가, 당기순이익은 5.1% 증가, 동사는 N2O,C4F8, NH3,F2 Mix, CO2,Xe 제품 및 Si2H6,GeH4, CO2,CH2F2 상품 매출이 모두 감소하였습니다.

 

- 원재료가격이 큰폭으로 하락해 영업이익은 오히려 증가하였으며,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의 자료에 따라 2024년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여 동사의 매출 상승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5. 유진테크

- 동사는 반도체 박막을 형성하는 전공정 프로세스 장비를 개발, 생산하는 반도체 전공정 장비 업체로서 2000년 설립, 2006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 반도체 소재 부문에서는 국내 반도체 소자업체에 DRAM 캐패시터용 고유전율 물질 박막 증착에 필요한 전구체의 판매량 증진에 집중,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유수의 글로벌 반도체 회사들과 제조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8% 감소, 영업이익은 59.2% 감소, 당기순이익은 42% 감소, 반도체 소자업체의 투자 축소 및 지연과 신규 장비에 대한 R&D 비용 발생 등 수익성이 악화되었습니다.

 

- 국내 반도체 소자업체에 DRAM 캐패시터용 고유전율 물질 박막 증착 등에 필요한 전구체 제품 개발 및 판매량 확대에 집중과 동시에  반도체 특수가스 및 패키지 소재 개발을 시작하였습니다.

 

6. 심텍 - 3D 낸드 관련주

- 동사는 인적분할로 설립된 신설 회사로 2015년 8월 재상장하였으며, 분할 전 회사인 심텍홀딩스의 인쇄회로기판 제조사업부문 일체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Big 4 메모리 칩 메이커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과 Big 5 패키징 전문기업 ASE, Amkor 등을 고객사로 확보하여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동사의 제품은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선도기술인 패턴 매립형 기판(ETS)은 2016년 세계일류화 상품에 지정된 바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1% 증가, 영업손실은 53.6% 감소, 당기순손실은 31.5% 감소, 동사는 실적 증가, 원가율 개선, 판관피 절감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영업손실이 발생하였습니다.

 

- 기존의 메모리 반도체향 위주의 제품에서 FC-CSP기판, SiP모듈기판 등 향후 성장성이 높은 System IC향 제품으로 고객확보 및 매출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7. 케이씨텍

- 동사는 2017년 케이씨로부터 인적분할로 설립되어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및 소재 사업 부분을 영위, 반도체  전공정 장비 및 소모성 재료의 제조 및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반도체 CMP, 세정장비/디스플레이 Wet-station 및 Coater 장비, 반도체 Slurry 등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매출 구성은 반도체부문, 디스플레이부문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6.5% 증가, 영업이익은 2991.4% 증가, 당기순이익은 274.5% 증가, 고객사의 투자 확대로 CMP 및 세정 부문의 매출이 200억 가량 증가하였습니다.

 

- 디스플레이 부문도 삼성디스플레이의 영향으로 60억 가량 매출이증가 되었으며, Xiamen Tianma Optoelectronics Co.,Ltd와 202억 규모의 디스플레이 공급 계약 체결하였습니다.

 


오늘 블로그에서는 3D 낸드 관련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성공투자 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