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아프리카 돼지열병 관련주 7종목

by 투자로의여행 2024. 7. 3.
반응형

오늘 블로그의 내용은 아프리카 돼지열병 관련주입니다. 관련주에는 미래생명자원, 우진비앤지, 진바이오텍, 이지바이오, 중앙백신, 우성, 선진, 대한뉴팜, 코미팜, 팜스코, 체스시, 이지홀딩스, 대성미생물, 셀레믹스 등이 있습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전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는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출혈성 돼지 전염병으로 이름처럼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혹멧돼지, 숲돼지 등의 돼지과 동물간에 전염되어 왔다고 합니다.

 

아프리카 돼지열병은 흡혈성 물렁진드기류에 의해 개체간 감염으로 확산될 수 있다으며, 돼지과 외에는 잘 감염되지 않고 감염된다 하더라도 무해하다고 하는데 아프리카 돼지열병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미래생명자원

- 동사는 1998년 2월 28일에 설립되었으며, 사업 부문을 사료 부문과 식품 부문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식품 부문에서는 계란, 기능성 소재 및 건강기능식품(일반식품)과 영유아식 제조 및 유통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사료 부문에서는 특수가공원료(EP), 기능성 원료, 기능성 첨가제, 프리믹스 첨가제, 반려동물 건강기능식품, 반려동물 프리미엄 용품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53.8% 감소,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사료 부문 원재료 확보의 어려움이 지속되며 매출원가가 상승하고 영업손실을 기록함.

 

- 2024년 1분기 기준 매출 비중은 사료 부문 69%, 식품 부문 31%로 구성되며, 최근 연구개발 테마를 Nutrition에서 Function(고령화 실버케어 및 삶의 질 개선)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2. 진바이오텍 - 아프리카 돼지열병 관련주

- 동사는 2000년에 설립되어 2006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으며 유익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 사료첨가제의 제조, 판매 및 동물약품 생산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주요 제품으로는 펩소이젠, 락토케어, 아세트펜30액, 슈퍼솔 등이 있으며 가공 및 제조방법에 있어 특허 보유하고 있습니다.

- 고상동물약품과 사료첨가제의 경우 상대적으로 제품의 수명이 안정적인 것이 특징이며 고상발효를 통한 항생제 대체물질과 식물성 단백질 원료의 개발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4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1% 증가, 영업이익은 9.4% 증가, 당기순이익은 1.9% 증가, 지속적인 시장 점유율 확대로 매출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비용도 절감함에 따라 수익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가고 있음.

 

- 미국에 현지공동 법인의 설립으로 현지 생산에 의한 원가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을 형성하여 다국적 마케팅으로 신규시장 진입을 적극 추진할 예정입니다.

 

 

3. 중앙백신

- 동사는 2003년 7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동물약품 전문 제조업체로 동물 백신의 생산 판매를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사료첨가제, 구충제 등의 상품 판매도 하고 있습니다.

 

- 동사는 축종에 따라 수이샷 양돈백신, 포울샷 가금백신, 캐니샷 애견백신, 보비샷 축우백신 등으로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 국제수역사무국 산하 Affsa Nancy 인증을 받아 광견병 중화항체가 농장을 대상으로 병성진단 용역 및 생물학적제제에 대한 연구용역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1.4% 증가, 영업이익은 22.9% 감소, 당기순이익은 9.1% 감소, 시장 수요 확대에 따라 매출은 안정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 대부분의 원료를 수입에 의존함에 따라 비용이 크게 증가하여 수익성이 하락하였으며, 최근 적극적인 신규 시장개척 활동으로 동남아 외에도 남미, 중국, 중동, 아프리카 등의 지역으로 판로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4. 한일사료 - 아프리카 돼지열병 관련주

- 동사와 그 종속기업은 배합사료 제조, 수입육 유통 판매 전문 기업으로 동물용 배합사료, 수입육 등의 사업 영역에서 양계사료, 축우사료, 수입육(우육, 돈육) 등을 생산, 판매함. 배합사료 공장은 국내 1개(경기도용인시 소재) 가동 중입니다.

 

- 수입육은 미국, 유럽 등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국내 사업장으로는 사료 관련 2개(본사 :용인 /하치장 : 포천), 수입육은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에 케이미트 본사가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4% 증가, 영업이익은 196.2%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낙농사료는 1998년 서울우유협동조합과 월 3,700톤 주문생산계약으로 시작하여  현재까지 26년째 거래관계를 지속해 오고 있습니다.

- 공급물량도 꾸준히 증가해 오고 있는 추세로 미국산 소고기 브랜드 'SWIFT' 등 국가별 분산된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한 매출 증대 및 리스크 최소화 추구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5. 대한뉴팜

- 1984년 10월 설립되어 동물약품 사업으로 시작하였으며 1995년에 건강보조식품, 인체의약품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였으며,  2012년도에 바이오사업에 진출하였으며 웰빙사업의 고도화를 위하여 2014년도에 의료기기 사업에 진출함.

 

- 전문의약, 웰빙의약, 동물의약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바이오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집중 투자하여 전문화하고, 융합화하여 세계로 무대를 옮겨 나갈 것입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6.3% 감소, 영업이익은 17.9% 감소, 당기순이익은 17.9% 증가, 상품매출의 감소로 전년동기 대비 매출실적이 소폭 감소하였으며 국내매출 또한 약 6.6% 감소하여 수익성에 영향이 미칩니다.

 

- 창립 이래 가장 큰 투자로 건설비 429억원을 투입하여 신공장을 설립중으로  공사 기간은 15개월이며 밸리데이션 과정을 거쳐 2027년부터 정식 생산에 돌입하였습니다.

 

 

6. 대성미생물 - 아프리카 돼지열병 관련주

- 1968년 5월에 설립하여 동물용의약품 생산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예방백신, 항생제, 항균제, 구충제, 영양제, 해열진통소염제, 생균효소제, 면역증강제, 소독제 등 각종 동물용의약품 150여종을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 2024년 3월 백신, 항생제, 영양제 등 동물용 의약품 150여 종 생산, 판매 중에 있으며, 국내 200여개 판매 대리점 확보하였음. 아시아, 유럽 등(6개국)에 백신, 주사제 등 수출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4%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 구성은 분기말 기준 전체 56억원 중 내수 49억(88%), 수출 7억(12%)으로 내수 시장은 안정적인 매출 실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 수출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최상위 개별 제품의 점유율이 5~10%내외로 전체적으로 특정 제품에 치우치지 않고 고르게 분포하고 있습니다.

 

 

7. 씨티씨바이오

- 1996년 설립된 동물약품, 인체약품, 사료첨가제 및 단미보조사료, 건강기능성식품 제조, 판매업체로 2002년 2월에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 동사는 미생물발효기술, 약물코팅기술, 약물전달기술등 다양한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을 접목한 제품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동사의 매출구성은 동물약품군 약 59.13%, 인체약품군 약 40.87%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8% 감소, 영업손실은 54.9% 증가, 당기순손실은 83.4% 감소, 비즈니스 구조개선, 영업정책 활성화 등 수익성 확대를 위한 내부 체질 개선 진행하였습니다.

 

- 동사는 조루증 치료 복합제 'CDFR0812-15/50mg'(개량신약/전문의약품)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16일 자로 국내 품목허가를 승인받아 매출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오늘 블로그에서는 아프리카 돼지열병 관련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성공투자 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