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블로그의 내용은 전기차 배터리 소재 관련주입니다. 해당 관련주에는 코스모신소재, SKC, 한솔케미칼, 포스코퓨처엠, 솔루스첨단소재, 엘앤에프, 대성하이텍, 후성, 천보, 에코프로비엠 등이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소재, 부품은 2차전지의 리튬이온전지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소재를 말하는데 양극재, 음극재, 전해약, 분리막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국내 2차전지 소재, 부품 기업들은 주요 고객사인 배터리 생산 업체들의 생산 공장 증설, 생산량 증가, 2차전지 전방산업인 전기차 시장, 원자재 가격 상승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는데 전기차 배터리 소재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코스모신소재
- 동사는 기능성필름(이형필름, 점착필름, 인슐레이션필름)과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토너, 토너용 자성체 등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전기차 배터리 소재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 NCM 양극활물질 사업은 시장확대와 고객사의 요구에 맞춰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MLCC용 이형필름도 전방 산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라 3공장을 증설, 삼성전기, 삼성SDI 등의 메이저브랜드들이 최대 매출처라고 합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10.1% 증가, 영업이익은 22.4% 감소, 당기순이익은 66.2% 감소, 복합기 기종 토너개발 및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매출 대부분이 수출에서 발생하는 사업구조임. 주력제품인 양극활물질 및 기능성필름의 수출이 확대되면서 매출 상승세를 시현함. 반면 원가율 상승으로 수익성은 하락한 모습입니다.
2. SKC
- 동사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소재인 전지박 등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2차전지 소재사업, 폴리우레탄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프로필렌옥사이드 제품 등을 생산, 판매하는 화학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PG는 동사가 국내 최초로 상업화한 이후, 현재까지도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는 제품으로 친환경 HPPO공법을 통해 만든 PO(Propylene Oxide)로 고부가 PG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되었습니다.
- 동사 종속기업인 SK엔펄스(주)는 반도체 사업의 통합 운영을 통해 경영 효율성을 위하여 2022년 11월 이사회에서 SK텔레시스(주)와의 합병을 결의하였습니다.
- 최근 Global 경기 침체 우려에 따른 구리가격이 하락였으며 중국 내 기존 회로박 제조사의 전지박 전환에 따른 공급량 증가로 1분기 Global 전지박 평균 판가가 하락하였습니다.
3. 에코프로비엠
- 동사는 에코프로의 이차전지소재 사업부문이 물적분할되어 신설되었으며, 2019년 3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으며, 2013년 하이니켈계 양극소재 중심으로 사업을 재편한 이후 NCA 분야에서 시장점유율을 꾸준히 높여 왔습니다.
- 글로벌 Non-IT용 NCA 양극재 수요 확대와 국내외 EV용 하이니켈계 양극재 판매 호조가 계속되는 가운데 세계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가고 있으며 전기차 배터리 소재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3.6% 증가, 영업이익은 161.4% 증가, 당기순이익은 169.8% 증가, 동사는 양극활물질 판매량 확대에 따른 매출액 증가 및 신규공장 가동 확대로 인한 영업실적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 헝가리에 약 1조원을 투자하여 10만 8천톤의 양극재 생산 능력을 확보하는 계획을 수립, 2024년 하반기부터 양산이 개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4. 후성
- 동사는 기초화합물(불소화합물)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는 불소화합물 사업분야에서 국내 유일 생산, 판매하는 등 국내에서 선도적 위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 2022년 12월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해 한텍을 종속회사로 편입하여 화공기기 제조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으며, 기초화합물 화학소재는 국내 및 해외 전방 가전사, 반도체 생산 업체, 전해액 Maker 업체 등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가 영위하는 냉매산업은 세계적인 환경규제의 대상으로 사업 허가권이 더 이상 발급되지 않아 높은 진입 장벽을 가지고 있습니다.
- 끊임없는 연구 개발로 후속 대체 냉매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지속되는 불안정한 경제 환경 속 중국 등 글로벌 이차전지 수요 감소에 따른 이차전지 소재 판매가 감소하였습니다.
5. 포스코퓨처엠
- 동사의 주요 사업은 이차전지소재, 첨단화학소재, 산업기초소재로, 이차전지용 양극재와 음극재, 탄소소재 원료와 제품, 내화물과 생석회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 포스코그룹 계열의 소재 전문회사로 2021년 약 1조 2천 7백억원의 유상증자를 통해 대규모 투자 재원을 확보하였으며, 전기차 배터리 소재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 이차전지소재 분야에서 포스코 그룹의 리튬, 니켈 등 원료, 이차전지소재연구센터 등 R&D 인프라, 글로벌 마케팅 네트워크를 연계해 사업경쟁력을 높여 나가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0.8% 증가, 영업이익은 20.7% 감소, 당기순이익은 8% 증가. 전방산업인 이차전지산업의 활황으로 에너지소재부문의 실적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 원가율 상승 및 각종 비용 증가 여파로 수익성은 다소 하락한 상황으로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 OCI 등 대형 거래선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 수주를 바탕으로 향후 꾸준한 성장세 계속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6. 천보
- 동사는 2007년 10월 8일에 설립되었으며, 2019년 코스닥 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으며, 전자소재, 이차전지 전해질 등의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 동사의 주요 사업부문은 크게 전자소재, 2차전지 소재, 의약품 소재, 정밀화학 소재로 구성되며, 2023년 3월 기준 매출 구성은 전자소재 26.1%, 2차전지 소재 58%, 의약품소재 1.3%, 정밀화학소재 3.1%, 기타 11.5%로 이루어져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0.2% 감소, 영업이익은 90.9% 감소, 당기순이익은 65.1% 감소, 주요 재품의 원재료 가격변동에 따른 제품가격 인하와 수요감소로 매출액 및 영업이익이 감소하였습니다.
- 현재 LiPO2F2는 원가절감을 위해 신규공법을 적용한 공장을 증설 중. LiFSI, FEC, VC는 새만금국가산업단지에 대규모 공장을 건설하고 있습니다.
7. 엘앤에프
- 동사는 2000년 설립돼 2003년 코스닥 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2차전지 양극활물질과 그에 관련된 소재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스마트기기, ESS 등을 만드는 데 쓰이고 있습니다.
- 중국에 위치한 무석광미래신재료유한공사와 경북 김천에 위치한 제이에이치화학공업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으며, 대구 달서구와 경북 칠곡군 등에 생산시설을 운영 중임. 매출은 수출 96.97%, 내수 3.03%로 구성됩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6.2% 증가, 영업이익은 23.8%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되었습니다.
- 환율 및 자원보유국, 메이저 기업들의 전략으로 인하여 비우호적인 메크로 환경에도 불구하고 EV용 Hi-Ni 양극활물질 판매량이 대폭 확대되었고 신규 Capa full 가동하고 있습니다.
- 경쟁력 확보를 위해 대구국가산업단지에 증설하는 등 시장 성장에 맞추어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상 키움증권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된 전기차 배터리 소재 관련주였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