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블로그의 내용은 실리콘 음극재 관련주 TOP7입니다. 실리콘 음극재는 흑연 대신 실리콘을 이용해 제조하는 음극재로 글로벌 실리콘 음극재 시장도 점차 커지는 중이라고 합니다.
배터리 핵심 소재 중 하나인 음극재 시장에서는 최근 배터리 밀도를 높이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키는 실리콘 음극재가 ‘게임 체인저’로 각광받으면서 기업 간 경쟁도 뜨거워졌다고 하는데요.
하나증권에 따르면 글로벌 실리콘 음극재 시장은 지난해 4억달러(약 5340억원)에서 2032년 287억달러(약 38조3100억원)로 급성장할 전망이라고 하는데 실리콘 음극재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대주전자재료
- 동사는 전자제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부품용 소재를 종합적으로 개발, 제조, 양산할 수 있는 전자재료 전문기업으로 LED용 형광체는 LG화학 형광체 사업부를 인수하여 세계 2위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생산 제품들은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칩형 전자부품에 응용되는 칩부품용 전극재료와 LED용 형광체, AMOLED 재료, 태양전지용 전극재료, 이차전지 음극재료 등이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 감소, 영업이익은 95%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되었으며, 은 분말, 글라스 프릿, 유기 조성물을 독자적으로 개발 내재화하여 매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 최근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는 에너지 밀도 향상을 통한 배터리 용량확대를 위해 양극의 High-Nickel 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실리콘 음극활물질의 음극 적용 확대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2. SKC
- 동사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소재인 전지박 등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2차전지 소재사업, 폴리우레탄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프로필렌옥사이드 제품 등을 생산, 판매하는 화학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PG는 동사가 국내 최초로 상업화한 이후, 현재까지도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는 제품으로 친환경 HPPO공법을 통해 만든 PO(Propylene Oxide)로 고부가 PG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되었습니다.
- 동사 종속기업인 SK엔펄스(주)는 반도체 사업의 통합 운영을 통해 경영 효율성을 위하여 2022년 11월 이사회에서 SK텔레시스(주)와의 합병을 결의하였습니다.
- 최근 Global 경기 침체 우려에 따른 구리가격이 하락였으며 중국 내 기존 회로박 제조사의 전지박 전환에 따른 공급량 증가로 1분기 Global 전지박 평균 판가가 하락하였습니다.
3. LG화학
- 동사는 석유화학 사업부문, 전지 사업부문, 첨단소재 사업부문, 생명과학 사업부문, 공통 및 기타부문의 사업을 영위, 연결회사는 2020년 12월 1일 전지 사업부문을 단순·물적분할하여 (주)LG에너지솔루션 및 그 종속기업을 설립함.
- 동사는 양극재, 엔지니어링 소재, IT소재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부가 제품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전환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9% 증가, 영업이익은 32.6% 감소, 당기순이익은 31.1% 감소,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 원가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경기 변동에 따른 사업 Risk를 최소화하고 사업의 Fundamental을 강화.
- LG에너지솔루션 60.2%, 석유화학 사업부문 30.5%, 첨단소재 사업부문 5.4%, 생명과학 사업부문 1.8%, 공통 및 기타부문 2.1%로 매출구성이 되었습니다.
4. 포스코퓨처엠
- 동사의 주요 사업은 이차전지소재, 첨단화학소재, 산업기초소재로, 이차전지용 양극재와 음극재, 탄소소재 원료와 제품, 내화물과 생석회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 포스코그룹 계열의 소재 전문회사로 2021년 약 1조 2천 7백억원의 유상증자를 통해 대규모 투자 재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실리콘음극재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 이차전지소재 분야에서 포스코 그룹의 리튬, 니켈 등 원료, 이차전지소재연구센터 등 R&D 인프라, 글로벌 마케팅 네트워크를 연계해 사업경쟁력을 높여 나가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0.8% 증가, 영업이익은 20.7% 감소, 당기순이익은 8% 증가. 전방산업인 이차전지산업의 활황으로 에너지소재부문의 실적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 원가율 상승 및 각종 비용 증가 여파로 수익성은 다소 하락한 상황으로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 OCI 등 대형 거래선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 수주를 바탕으로 향후 꾸준한 성장세 계속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5. 나노신소재
- 동사는 2000년 설립되어 2011년 코스닥시장에 상장, 동사는 원재료인 금속 또는 비금속 Metal을 구입하여 초미립 나노 분말로 합성하고 이를 다시 고체인 Target 형태나 Paste/Sol/Slurry 형태의 액상으로 제품화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함.
- 이러한 기술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패널시장 및 태양전지 시장, 반도체 CMP공정에 투입되는 소재 제조 그리고 이차전지 전극에 적용되는 CNT도전재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2% 감소, 영업이익은 45.1% 감소, 당기순이익은 14.2% 증가, 디스플레이, 반도체 소재 부문의 매출이 소폭 하락하며 전년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습니다.
- 금융수익이 발생해 당기순이익은 증가하였으며, 태양전지산업 부분에서는 기존 거래처와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진행하여 고효율 소재를 공급하고 있고, 장비업체와의 공동마케팅으로 신규 거래처 발굴하여 거래처다각화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6. 한솔케미칼
- 동사는 정밀화학 제품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지 및 섬유에 사용되는 과산화수소, 섬유에 사용되는 차아황산소다, Polymer 합성시 중합개시제로 주로 사용되는 BPO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 제지/환경제품으로 제지산업에서 부재료로 사용되는 라텍스외 제지약품, 폐수처리 등에 사용되는 고분자응집제 등을 생산, Precursor, 디스플레이 제조에 사용되는 Resin 및 QD 등 전자재료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2% 감소, 영업이익은 35.5% 감소, 당기순이익은 31.4% 감소. 동사의 2023년 1분기 정밀화학 제품의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8.2% 감소하였습니다.
- 제지/환경 제품의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19.9% 감소하였음. 이차전지 성능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신소재에 대한 Needs가 커지고 있고, 이러한 변화가 동사의 신규시장 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7. 금양
- 합성수지, 고무 등 고분자재료에 첨가되는 화공약품인 발포제 및 발포제 유관제품 제조업체로 1955년 설립, 발포제의 주요 수요처로는 자동차내장재, 상품포장재 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산업 전반임.
- 가동률과 원재료 가격변동에 따라 수익성의 영향이 큰 산업으로 부가가치가 높지 않으며 물류비 부담이 크며, 수출비중이 70%를 상회하며,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중국현지공장 생산 확대를 하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0.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지난해에 이어 내수 및 수출 동반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원가율 또한 증가한 영향으로 수익성 크게 하락하며 적자 전환된 모습.
- 자동차 내장재 및 친환경 발포제 개발과 추진중인 원통형 이차전지 사업과 수소연료전지 사업의 성공여부가 동사의 향후 성장 가능성의 척도가 될것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이상 실리콘 음극재 관련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성공투자하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