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벌크선 관련주 베스트 10종목

by 투자로의여행 2022. 9. 18.
반응형

벌크선 관련주에는 한국조선해양, 대한해운 , HMM 등이 있는데요. 벌크선은 Bulker라고도 부르며, 포장하지 않은 화물을 그대로 적재할 수 있는 화물전용선을 말하는데 석탄전용선, 광석전용선, 시멘트전용선, 곡물전용선 등이 있습니다.

 

벌크선의 화물 수송은 화물의 종류에 따라 석탄 전용선, 광석 전용선, 시멘트 전용선, 곡물 전용선 등의 전용화물선과, 한 종류의 화물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벌크화물을 물동량에 맞추어 운송하는 겸용선으로 구분된다고 합니다.

 

원료 운반이 주요 임무이기 때문에 수송비용을 낮추기 위해 경제속력으로 항행하며, 선체가 점차 대형화되고 있는데 오늘은 벌크선 관련주 베스트 10종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한국조선해양 - 벌크선 관련주

- 지주회사로 다른 회사를 지배함과 동시에 미래기술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종속회사로는 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이 있습니다.

 

-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Hyundai-Vinashin Shipyard 등 종속기업을 포함하여 조선부문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매출은 조선 86.54%, 엔진기계 4.27%, 그린에너지 4.49%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한국조선해양 차트


-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1%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되었으며, 영업손실 지속. 이번 하청지회 파업에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 건조자금이 크게 증가하는 데 비해 인도 대금은 감소해 유동성 부족이 현실화 되었으며, 러시아 프로젝트 제재 등의 여파로 매출액 감소하였고 유럽 소재 선사와 대형 LNG운반선 2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계약 금액은 5,375억원입니다.

 

출처 키움증권

 

2. 대한해운 - 벌크선 관련주

- 동사는 에너지, 자원 전문 수송선사로서, 주요사업으로 철광석, 천연가스, 원유 등의 원재료를 선박으로 운송하는 해상화물운송 및 해운대리점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동사의 주된 사업인 해운업은 선박을 이용하여대량의 화물을 장벽에 구애 받지 않고 원하는 시간에 필요한 장소로 수송하는 대표적인 서비스 산업으로 주요 거래처인 포스코,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공사 등과 장기운송계약을 체결하고 있음.

대한해운 차트

-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5.1% 증가, 영업이익은 80.6% 증가, 당기순이익은 25.8% 증가하였으며, 동사는 해운업에서 국내외 대형 선주와의 장기용선계약에 따른 원가경쟁력, 우량 화주와의 장기해상운송계약으로 안정적인 수익원 확보하였습니다.

 

- 안정적인 전용선 영업 위주의 사업을 지속하며 화물운송계약 위주의 부정기선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용선시장의 불확실성과 관련된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3. HMM - 벌크선 관련주

- 100여 척의 다양한 선박과 물류시설, 전 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하는 항로망, 해운업계를 선도하는 IT시스템, 숙련된 해운 전문인력을 바탕으로 최고의 수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 동사는 각종 수출입 제품은 물론, 원유, 석탄, 철광석, 특수화물 등 국가전략물자를 수송하여 국가경제의 대동맥 역할을 수행, 다각화된 사업 영역을 영위하며, 특정 분야의 시황 변동에도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사업 구조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HMM 차트

-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2.6% 증가, 영업이익은 208.9% 증가, 당기순이익은 1932.6% 증가하였으며, 동사의 호실적은 비수기임에도 시황이 크게 개선됐고 1분기 환율이 오른 점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특히 아시아~미주노선 운임 등 전 노선의 운임이 올라 시황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또한 항로 합리화, 화물비용 축소 등 원가 구조 개선 노력이 빛을 보면서 컨테이너 사업과 벌크 부문 모두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4. 대우조선해양 - 벌크선 관련주

- 동사는 종합 조선/해양 전문회사로서 사업부문은 선박, 해양사업, 건설사업, 기타사업(에너지, 식품사업, 풍력사업, 서비스사업, 해상화물운송사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선박, 해양산업은 막대한 시설자금의 투입이 수반되는 기간산업으로 자본집약적이며 선박 및 해양 제품의 건조는 노동집약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도크별 생산 전문화, 자회사별 생산 전문화, 사외 권역별 생산운영전략 및 안벽 운영방안 수립 등 최적 생산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대우조선해양 차트

-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 증가, 영업손실은 120.8% 증가, 당기순손실은 109.5% 증가하였으며, 에너지플랜트 시장 회복기를 준비하며 매출의 확대보다 안정성 및 수익성 있는 일감의 확보를 목표로 영업 전략을 설정하여 영업 집중력을 높여갈 계획입니다.

 

- 차별화된 연구 역량과 기술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기술적 우위, 지속적인 생산성 및 품질 향상 활동 추진으로 친환경 고부가가치 선박시장을 선도해나갈 예정이라고 합니다.

 

출처: 키움증권

 

5. 현대중공업 - 벌크선 관련주

- 동사는 선박과 해양구조물, 플랜트 및 엔진 등의 제조, 판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조선사업이 약 78% 정도로 가장 높은 매출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반상선, 고부가가치 가스선, 해양관련 선박, 최신예 함정등을 건조하였습니다.

 

- 해양플랜트사업은 원유 생산·저장설비 공사, 발전·화공플랜트공사를 수행하며, 엔진기계사업은 대형엔진, 힘센엔진, 육상용 엔진발전설비 등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현대중공업 차트

-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7%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되었으며, 구리, STEEL PLATE, 형강, PAINT 등의 원재료가 크게 상승하며 조선 부문에서 매입액이 증가하였습니다.

- 대형엔진 라이센서인 MAN-ES사와 저압DF ME-GA엔진을 공동개발하여 2021년 2분기 초도 공사를 수주하였고, 적극적인 수주 활동으로 물량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6. KSS해운 - 벌크선 관련주

- 동사는 동북아 지역에서 액화가스 및 석유화학제품의 해상운송서비스 사업을 영위하여 왔으며, 2021년 12월 기준 가스선 해상화물운송 매출이 전체의 88.8%를 차지하고 있으며, 케미칼선 매출은 11.1% 수준입니다.

 

- 독보적인 지위와 높은 신용도를 바탕으로 재무구조가 튼튼한 화주 및 용선주와의 장기계약 및 계약 연장을 통해 기복이 심한 해운업의 특성을 극복하고 있습니다.

KSS해운 차트


-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1.2% 증가, 영업이익은 48.4% 증가, 당기순이익은 6.1% 감소하였으며, 국제 화물수송량은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이며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져 산업의 성장성은 높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국내 최초로 LPG 이중 추진 엔진을 탑재한 친환경 선박을 발주하였고, 이어 2척을 추가로 발주하여 2022년 3분기 1척, 2023년 1분기 2척의 인도를 앞두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7. 현대미포조선 - 벌크선 관련주

- 동사는 중형선박 건조부문에서 세계수준의 업체로 성장했으며, 지주회사인 한국조선해양(주)의 R&D 인프라를 통해 시장변화에 지속 대응하고 있습니다.

 

- 석유화학제품 운반선과 중형 컨테이너운반선 등을 중심으로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였으며, LPG/에틸렌 운반선 등 고부가 특수 선박시장에도 성공적으로 진출하였습니다.

 

- 환경 규제 강화에 대비해 친환경/에너지 고효율 디자인 개발을 통한 신규 및 노후선 대체 수요 창출을 판매전략으로 하고 있습니다.

현대미포조선 차트

-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9%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되었으며, 원가부담과 기업 개별 악재로 적자를 기록하였습니다.

 

- 향후 조선업계는 수주 랠리를 이어가면서 이미 3년치 수주잔고를 채운 상태. 원자재 가격 상승을 반영한 신조선가도 상승 추세. 효율적인 비용 관리와 신사업 부문으로서의 전략적 진출 등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8. 흥아해운 - 벌크선 관련주

- 동사는 아시아 지역에서의 액체석유화학제품의 해상운송을 주업으로 하고 있으며, 그 외 부동산 임대업을 행하고 있습니다.

- 2022년 3월 분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회사가 직접 투자한 계열회사 중 정상적으로 사업을 영위 중인 계열회사는 12개사(국내 8개, 해외 4개)이라고 합니다.

흥아해운 차트

-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3%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되었으며, 2022년 코로나 펜데믹 상황의 회복과 인플레이션을 극복하려는 움직임에 따라 소극적이던 거래가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021년 공동경영관리절차를 성공적으로 졸업하고, 주력 사업부문인 케미컬탱커 부문에서 COA계약 확대, 신규거래선 확보 및 항로별 운항효율증대 등 수지개선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9. 팬오션 - 벌크선 관련주

- 동사는 해상화물운송 등을 사업목적으로 1966년 5월 범양전용선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주요 매출처는 포스코, VALE,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SUZANO S.A.,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가스공사 등이 있습니다.

- 주력사업인 벌크화물 운송 서비스를 필두로 비벌크화물 운송 서비스(컨테이너화물 운송 서비스, 탱커선 서비스, LNG운송 서비스)까지 다양한 형태의 해상운송사업과 곡물사업 및 선박 관리업 등을 함께 영위하고 있습니다.  

팬오션 차트


-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1.9% 증가, 영업이익은 245.8% 증가, 당기순이익은 198.2% 증가하였으며, 국내외 주요 화주들과의 장기화물계약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선박의 용대선 능력을 바탕으로 시장의 변화에 대해 신속 정확하게 대응하고 있으며, 장/단기 화물운송계약의 전략적인 Portfolio 구축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 및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10. 삼성중공업 - 벌크선 관련주

- 동사의 사업부문은 선박, 해양플랫폼 등의 판매업을 영위하는 조선해양 부문과 건축 및 토목공사를 영위하는 E&I 사업부문으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 선종에 걸쳐 발주가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수주잔량은 전년대비 감소흐름으로 매출은 조선해양(LNH선, 초대형컨테이너선, FLNG 등) 부문이 100.90%의 절대비중을 차지하며 토목, 건축 부문이 1.5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삼성중공업 차트


-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8% 감소, 영업손실은 81.3% 감소, 당기순손실은 80.7% 감소하였으며, 원자재 상승으로 인한 후판가 인상 등의 영향으로 영업손실 기록. 적자규모는 전분기 대비 개선은 되었습니다.

 

- 매출 감소는 지난해 말 대형 해양 프로젝트인 코랄(Coral) FLNG가 출항하면서 해양부문 일감이 줄어든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1분기 코랄 FLNG 체인지오더 정산 등 570억원이 발생해 적자 규모를 줄이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오늘은 벌크선 관련주 베스트 10종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리튬 관련주 베스트 10종목

리튬 관련주에는 엘앤에프, 포스코엠텍, 유일에너테크 등이 있는데요. 리튬은 2차전지 생산을 위해 필요한 미래먹거리로 각광받고 있는 원자재로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고 합니다. 글로벌 에

just-t.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