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블로그의 내용은 반도체 전공정 소재 관련주입니다. 해당 관련주에는 에스앤에스텍, 원익머트리얼즈, 한솔케미칼, 레이크머티리얼즈, 티씨케이, 원익ZnC, 티이엠씨, 램테크놀러지, 동진쎼미켐 등이 있습니다.
반도체 제조는 전공정과 후공정으로 나뉘는데 전공정은 노광, 증착, 식각의 과정을 거치며, 고도의 화학공정을 거치기 떄문에 높은 기술력이 필요한 고부가가치 산업이라고 하는데요.
반도체 전공정 소재는 제조공정(노광, 증착, 식각)과 관련된 화학소재를 의미하는데 반도체 전공정 소재 업체는 반도체 전공정이 멀티패터닝 새기는 작업을 반복하는 것으로 기술을 통해 미세화되면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반도체 전공정 소재 관련주 정리
1. 한솔케미칼
- 동사는 정밀화학 제품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지 및 섬유에 사용되는 과산화수소, 섬유에 사용되는 차아황산소다, Polymer 합성시 중합개시제로 주로 사용되는 BPO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 제지/환경제품으로 제지산업에서 부재료로 사용되는 라텍스외 제지약품, 폐수처리 등에 사용되는 고분자응집제 등을 생산함. Precursor, 디스플레이 제조에 사용되는 Resin 및 QD 등 전자재료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2% 감소, 영업이익은 35.5% 감소, 당기순이익은 31.4% 감소하였으며, 동사의 2023년 1분기 정밀화학 제품의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8.2% 감소하였습니다.
- 제지/환경 제품의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19.9% 감소하였으며, 이차전지 성능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신소재에 대한 Needs가 커지고 있고, 이러한 변화가 동사의 신규시장 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합니다.
2. 레이크머티리얼즈
- 동사는 국내에서는 유일한 TMA 제조 가능 업체로 유기금속화합물 설계 및 TMA 제조기술을 기반으로 LED, 반도체, 디스플레이, Solar소재 및 석유화학 촉매로 이어지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 동사의 매출구성은 반도체소재 약 58.88%, , Solar 소재 약27.98%, 석유화학촉매 약 7.32%, LED소재 약 5.36, 기타 약 0.46%로 이루어져있으며, 반도체 전공정 소재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 증가, 영업이익은 7.7% 증가, 당기순이익은 25.4% 증가, 동사의 촉매사업은 국내 POE 업체들의 증설 추진, 메탈로센 촉매의 침투율 증가 및 해외 고객사 확보 등으로 성장이 기대됨.
- 동사는 배터리의 핵심인 황화리튬을 고가 원재료 없이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개발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고 이는 전고체 배터리 물질 생산으로 이어 질 수 있어 매출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3. 티씨케이
- 동사는 1996년 설립되어 인조흑연 및 기타 탄소제품의 제조 및 수입업과 무역대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동사는 반도체, 태양전지 및 LED용 부품 전문 제조회사라고 합니다.
- 구체적인 제품으로는 고순도 흑연을 이용한 반도체 및 태양전지용 실리콘 잉곳을 생산하는 Graphite 부품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하여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반도체 Device업체에서 사용하는 장비의 Solid SiC Wafer, Ring 등을 판매중에 있음.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8.2% 감소, 영업이익은 23.9% 감소, 당기순이익은 25.6% 감소, 반도체 업계 실적 부진 등으로 동사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였음. 원재료 가격 상승 등으로 원가율이 소폭 악화되었음.
- 2023년 1분기 말 현재 동사의 수주잔고는 757.5억원임. Solid SiC류의 수주잔고의 비중은 약 47.4%, Graphite류의 비중은 43.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4. 동진쎄미켐
- 동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재료, 대체에너지(Li-ion rechargeable batteries, fuel cells)용 재료와 발포제를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반도체 전공정 소재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 동사가 제조하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재료는 감광액, 반사방지막, SOC, 연마제, Wet Chemical, Colored Resist 등으로 동사는 발포제 부문에서 세계적인 업체로 부상하였으며, UNICELL이라는 브랜드로 세계 각국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9% 감소, 영업이익은 8.7% 증가, 당기순이익은 11.1% 증가,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88% 감소하였고, 국내전자재료 사업부문은 판매가 증가하였습니다.
- 해외전자재료 사업부문의 매출이 감소하였으나 매출원가절감으로 순이익은 다소증가하였으며, 차세대 신재생에너지인 연료전지, 이차전지 분야에 집중 투자, 개발중이며, 차세대 재료인 CNT 도전재, 실리콘 음극재 개발중임.
5. 램테크놀러지
- 동사는 2001년 10월에 설립되어, 반도체용 식각액, 박리액 및 기타 IT 분야 화학소재 등 전방 산업별 핵심 공정 중 사용되는 프로세스 케미컬 제조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 반도체를 시작으로 디스플레이, LCD, OLED, 2차 전지, 태양전지 분야 화학 약품 공급으로 사업을 지속, SK하이닉스, 삼성 SDI, 매그나칩, ELK 등을 고객사에 공급하고 있으며, 반도체 전공정 소재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수출 및 내수 매출 모두 감소하였으며, 판관비 증가와 외환차손 및 유형자산처분손실 등으로 인하여 이익 적자전환함.
- 생산 시설 증설 및 차세대 신규제품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시장 점유율 확대해나가고 있음. 원가절감을 위해 지속적인 경영 효율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6. 원익QnC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에 사용되는 석영제품(쿼츠)와 산업용 세라믹을 제조하는 업체로 2003년 11월 원익으로부터 기업분할로 설립되었으며, 사업부문은 쿼츠, 세라믹, 램프, 세정 및 쿼츠원재료 등 5개라고 합니다.
- 쿼츠부문은 5개, 쿼츠원재료 부문은 9개, 세정부문은 2개의 해외 종속기업을 포함하고 있으며, 2020년 미국의 반도체용 소재 전문회사인 모멘티브사의 쿼츠/세라믹 부문 4개사를 인수함. 2022년 11월 일본 쿠러스텍을 인수하였습니다.
- 2023년 1분기부터 쿠어스텍 매출이 온기로 더해졌고 모멘티브가 인상한 판가로 제품을 판매했기 때문에 모멘티브 매출액을 전분기 대비 17.1%, 전년 대비 34.5% 증가하였습니다.
- 쿼츠 소모품들의 마진률은 가동률 하락에 따라 영업이익은 감소했으나, 모멘티브와 쿠어스텍 마진이 예상을 상회하였으며, 2023년 해외 고객사 물량 증가로 비메모리 쿼츠 매출 비중은 약 20%까지 늘어날 전망이라고 합니다.
7. 에스앤에스텍
- 동사는 반도체 및 TFT LCD 생산에 쓰이는, 노광 공정의 핵심 재료인 포토마스크의 원재료로서 패턴이 노광되기 전 마스크인 블랭크 마스크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 System LSI, LCD, OLED 등 국내 고부가가치 확대와 중국 패널업체 전방 산업 투자 확대에 대응하여 제품 및 고객 확대노력, 블랭크마스크 상품이 매출의 98% 가량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패널업체 수요 확대를 위한 신규 공장을 증설함.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3% 증가, 영업이익은 97.4% 증가, 당기순이익은 110.9% 증가, 스마트기기와 반도체 시장의 성장 등에 힘입어 블랭크 마스크 산업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 매출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시장 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차세대 반도체 노광 기술을 위한 소재기술의 개발 및 양산화를 위해서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상 키움증권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된 반도체 전공정 소재 관련주였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