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반도체 소재 관련주 7종목

by 투자로의여행 2023. 5. 20.
반응형

오늘 블로그의 내용은 반도체 소재 관련주입니다. Chat GPT와 같은 AI 분야의 발전과 자동차 반도체 시장의 성장 등으로 인해 반도체 산업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반도체 소재 시장의 미래도 밝다고 합니다.

 

첨단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SEMI의 발표에 의하면, 글로벌 웨이퍼 팹 재료 시장은 올해 잠시 주춤한 후 내년에는 역대 최고치였던 2023년의 시장 규모와 비슷한 439억 달러가 예상이 된다고 하는데요.

 

최근 각 기업과 지역의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메모리반도체와 파운드리 산업 모두를 아우르는 한국은 전략적 요충지로 전 세계가 주목한다고 하는데 오늘은 반도체 소재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이녹스첨단소재

- 동사는 이녹스로부터 인적 분할을 통해 신규 설립되었으며, 2017년 7월 10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 되었으며, 당사는 전세계 대부분의 OLED 패널제조사들에게 OLED 핵심소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 현재 고분자 합성, 배합 기술을 기반으로하여 FPCB용 소재, 반도체 PKG용 소재, 디스플레이용 OLED 소재등을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IT소재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4% 증가, 영업이익은 0.4% 증가, 당기순이익은 6.5% 증가. 총자산은 4,639억원, 유동자산은 2,730억원이고 당기말 총 부채는 836억원임. 부채비율은 22%로 전년 대비 줄어들었음.

 

- 2023년에도 글로벌 통화긴축 지속, 원자재ㆍ에너지 수급 차질의 장기화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클 것으로 전망된다고 합니다.

 

2. 마이크로컨텍솔

- 동사는 반도체 검사용 소모품인 IC소켓(IC Socket)을 위주로 한 각종 반도체 및 통신기기 접촉부품을 생산 운용 및 써멀프로덱터 가전 사업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 아이씨소켓은 대규모 자본 지출을 수반하는 설비투자 성격보다 반도체 제조 수량에 직접 연관된 소모성 특성에 따라 반도체 생산공정 내 경기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음. 매출비중은 B/I소켓 69.07%, Module소켓 13.86% 등으로 구성됨.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5% 감소, 영업이익은 0.5% 감소, 당기순이익은 6.2% 감소, Mobile, Consumer, Game 산업의 성장으로 최종 수요처가 다변화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 국내 아이씨소켓 시장은 이러한 메모리 시장의 등락과 긴밀하게 연동한 성장이 기대되며, 동사는 제품의 정밀부품을 국산화 또는 자체제작하여 경쟁사 대비 높은 원가경쟁력 유지와 수입의존도를 줄여가고 있습니다.

 

 

3. 케이엔제이

- 동사는 2005년 회사 설립 이후 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인 Edge Grinder(엣지그라인더)와 검사장비를 개발 생산, 동사의 매출구성은  반도체 제조용 약 51.17%, 디스플레이 제조용 약 48.83%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2010년 신규사업으로 CVD-SiC(탄화규소) 제품군 분야에 진출한 후 LED제조용 SiC 코팅제품 및 반도체 웨이퍼 에칭공정용 소모품인 SiC Focus Ring 등을 생산/공급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 증가, 영업이익은 202.5% 증가, 당기순이익은 80.2% 증가, 동사는 SK하이닉스의 SiC포커스링 공급업체로 신규 벤더로 진입하게 되었습니다.

 

- 앞으로 적극적인 시장 공략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보임. 동사는 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 엣지그라인더와 검사장비를 개발 생산했으며 최근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탄화 규소(SiC) Focus Ring 사업에 진출하여 매출 성장이 기대됨.

4. 동진쎄미켐

- 동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재료, 대체에너지(Li-ion rechargeable batteries, fuel cells)용 재료와 발포제를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 동사가 제조하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재료는 감광액, 반사방지막, SOC, 연마제, Wet Chemical, Colored Resist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전자소재의 첨단화와 집적화에 기여하는 화학공정 재료가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5% 증가, 영업이익은 64.1% 증가, 당기순이익은 54.4% 증가.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와 판관비, 인건비 등 부담이 늘었습니다.

 

- 매출 증가 폭이 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반도체 소재 관련해 신제품 개발이 지속되면서 차별화 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어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5. 덕산테코피아

- 동사는 OLED의 핵심구성요소인 유기재료와 반도체 전자재료 등의 화학제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주요 제품인 HCDS는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소재로 국내외 소수 업체들이 생산·공급하고 있습니다.

 

- 동사는 국내 최초로 HCDS를 직접 합성부터 초고순도 정제까지 일괄 제조하여 고객사에 공급하고 있으며, 신규사업으로 폴리이미드 사업 분야의 출발점인 모노머를 합성하여, 고객사에 공급하기 위한 사업을 준비 중임.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 감소, 영업이익은 57.9% 감소, 당기순이익은 9.9% 감소. 전기차용 타이어는 SSBR이 사용되는데 당사는 이러한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첨가제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 전기차 시장의 확대와 성장에 맞물려 SSBR 전용 재료인 동사의 매출도 동반 성장할 것으로 기대, 2022년 12월 말 완공 예정인 VC, FEC 전용 공장을 통해 신규 고객사 확보 및 매출 성장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6. KEC

- 동사는 반도체 제품 및 부품 제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기존 법인인 주식회사 케이이씨로부터 제조 사업 부분을 2006년 9월 인적분할하여 설립되었습니다.

 

- 초소형 Package 개발, 모바일화 및 디지털화 요구에 부응한 저 소비전력 제품 개발과 미국 및 유럽 시장 등 시장 개척에 총력을 기울이고 매출은 TR 49.7%, IC 26.2%, 기타(제품) 23.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 감소, 영업이익은 32% 감소, 당기순이익은 128% 증가, 상반기까지 비대면 문화로 폭발적인 수요가 유지되었습니다.

 

- 하반기에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물가와 금리 급등에 따른 민간 경제 위축 등 수요 절벽 악재로 연결 영업이익은 180억원으로 전년대비 32%가 감소하였습니다.

 

- 2023년에도 원자재 수급난, 원자재 가격의 상승, 금리 인상 등 불확실성은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7. ISC

- 동사는 2001년 2월, 반도체 및 전자부품 검사장비의 핵심소모부품인 후공정 테스트 소켓 제품 생산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2007년 10월 코스닥에 상장, 주력사업은 반도체 IC와 IT 디바이스등을 테스트하는 반도체테스트솔루션 사업임.

 

- 반도체테스트용 실리콘러버소켓은 글로벌 시장 약 90%를 점유하고 있으며, 신 사업으로 mmWave(28GHz) 5G 안테나용 FCCL 제조를 위한 신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출처: 키움증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6% 증가, 영업이익은 49% 증가, 당기순이익은 45.3% 증가. 시스템 반도체용 소켓과 R&D향 소켓 매출 증가, 글로벌 팹리스 수주 증가로 실적 성장하였습니다.

 

- 특히 데이터센터수요 증가로 주력제품인 서버용 CPU,GPU소켓 매출이 증가, 2022년 소켓 매출 중 메모리 비중 38%, 비메모리 비중 62%로 메모리향 부진은 불가피하나, 회사의 체질이 비메모리향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키움증권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된 반도체 소재 관련주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