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블로그의 내용은 로봇 관련주 7종목입니다. 관련주에는 삼현, 이랜시스, 제우스, 두산로보틱스, 베노티앤알, TPC, 레인모우로보틱스, 뉴로메카, 싸이맥스. 브이원텍, 인탑스, 아진엑스텍, 유일로보틱스 등이 있습니다.
최근 신성장산업으로 주목받는 로봇 테마가 스펙트럼을 넓히며 하반기 재도약을 노리고 있는데 협동로봇과 웨어러블 로봇 등 완성 로봇제조사뿐만 아니라 액추에이터 등 핵심 부품제조사의 기업공개(IPO)가 이어지면서 부터라고 합니다.
증권가에서는 로봇산업에 대한 대기업의 투자가 현재진행형인데다 업황 전망도 긍정적인 만큼 하반기 주가 우상향을 기대하고 있는데 아래 블로그에서 로봇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제우스
- 1970년에 설립된 동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산업용 로봇, 밸브 SYSTEM 등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2023년 12월말 현재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쓰리젯, 솔브리지, JET(일본) 등 국내외 14개사입니다.
-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매엽식 웨이퍼 세정장비, 디스플레이 열장비, 검사장비, 공정장비 및 산업용 Robot, Process 플러그 밸브 등이 있습니다.
- 주력인 반도체세정장비의 부진으로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소폭 감소, 지난해 부진했던 디스플레이 및 로봇 부문 실적이 국내외 투자로 인한 회복세가 반영되며 영업이익이 전년 연간 실적을 상회하였습니다.
- 첨단패키징에 필요한 HBM 관련 반도체 장비 실적이 아직 크게 반영되지 않은 점을 고려했하면 향후 실적 성장세는 더욱 뚜렷해질 전망으로 올초 무상증자를 실시했으며, 4월에는 주가 안정을 위해 50억원 규모의 자사주취득 신탁계약을 체결함.
2. 두산로보틱스 - 로봇 관련주
- 동사는 산업용로봇 중에서 협동로봇 제조 및 솔루션 제공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015년 4개의 협동로봇을 개발하였고 2020년 6개의 모델을 추가 출시하면서 협동로봇 시장에서 최대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협동로봇에 토크센서 방식과 중력보상기술을 적용하여 안정성과 정밀성을 향상시켜 안전 등급 중 최고수준인 Performance Level e등급과 Category 4 등급을 취득하여 최고수준의 제품성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2024년 3월 전년동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3.1% 증가, 영업손실은 52.2% 증가, 당기순이익은 37.8 증가, R&D 투자, 인건비 등의 판관비, 고금리 지속 등의 비용이 증가하여 영언손실이 대폭 증가하였습니다.
- 2022년 5월에는 미국법인을 설립하여 미주 지역에 대한 판매경로를 지속적으로 강화하였으며 2024년 5월에는 유럽지역 내 해외판매 채널확대를 위해 독일에 유럽지사를 설립할 예정입니다.
3. 레인보우로보틱스
- 한국과학기술원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의 연구원들이 창업한 전문 벤처기업으로 한국 최초의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인 'HUBO' 가 회사의 근간입니다.
- 제품군은 크게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플랫폼, 협동로봇 및 천문 관측용 마운트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로봇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초정밀 지향 마운트를 개발하였습니다.
- 취미 활동가, 전문가뿐만 아니라 최근 군사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마운트를 개발하여 시장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습니다.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3% 감소, 영업손실은 98.1% 감소, 당기순이익은 94.5% 감소, 로봇 사업의 성장에도 외형은 전년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주식보상비용의 감소로 영업손실의 적자 폭은 크게 축소되었습니다.
- 동사는 서비스 분야에 협동로봇을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군을 발굴하고 있으며, 그 중 첫번째로 다양한 식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로봇 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업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4, 뉴로메카 - 로봇 관련주
-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는데 있어 핵심제품인 협동로봇을 개발하고, 협동로봇기술의 한 분야만 연구개발해온 협동로봇 자동화 원천기술 기업으로 F&B기업체를 주고객으로하는 협동로봇 INDY 7이 주력 모델입니다.
- 식음료 서비스 사업의 자동화가 점차 활성화됨에 따라 수요 증가가 기대되며, 구독형 협동로봇 자동화 서비스, 산업용 IoT 기반의 협동로봇 원격 유지보수 관리 서비스 등을 구축하여 협동로봇 자동화 생태계 구축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5.9% 증가, 영업손실은 108.5% 증가, 당기순손실은 161.8% 증가, 신규 고객사 발굴로 매출액은 증가하였으나, 높은 R&D 비용 및 판관비의 증가로 영업손실폭이 확대되며 적자가 지속됨.
- 최근 생산설비 확대를 통해 동사의 주력 모델인 INDY-7의 생산능력이 연간 약 600대에서 연간 약 1,200대로 증가되었습니다.
5. 브이원텍
- 동사는 국내외 디스플레이 고객사(LGD, CSOT 등)에 LCD/OLED 압흔검사장비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2차전지 배터리 장비에 사용되는 검사시스템 및 검사장비의 개발 및 제조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2021년 4월 사업 다각화 및 시너지 창출을 위해 '자율주행 물류로봇'(AMR) 회사 (주)시스콘을 인수, 시스콘은 국내 자체 로봇알고리즘 기반 제조환경 AMR 완제품 상용화에 성공하였습니다.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0.3% 증가, 영업손실은 84.8% 감소, 당기순손실은 2590.9% 증가, 2차전지 검사시스템 사업 부문이 79.49% 증가하면서 전체 외형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 2차전지 발화 및 글로벌 전기차 발화 사건 등으로 고객사는 배터리 안정성 강화를 위한 검사 기능을 추가하는 등 배터리 품질 안정성을 강조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주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6. 로보스타 - 로봇 관련주
- 동사는 1999년 직각좌표로봇과 수직다관절로봇등 산업용로봇의 개발과 제조 및 판매업을 목적으로 설립, 2024년 1분기말 현재 동사의 주요주주는 LG전자(33.4%)입니다.
- 사업부문은 전방위 산업의 제조용 로봇 공급을 위한 Robot 사업 부문과 공정장비 및 로봇 기반의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System Engineering 사업 부문으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 종속회사인 ROBOSTAR는 제조용 로봇을 중심으로 제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1% 증가, 영업손실은 73.3%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의 사업은 제조시설의 투자를 대상으로 하는 수주사업으로 전방산업의 투자 환경에 따라 매출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 디스플레이, 자동차 산업의 수요가 회복되며 동사의 매출도 전년동기 대비 상승하였으며, 2차전지, 반도체 산업용 제품 매출 비중을 확대해가며 특정 산업의 투자 환경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7. 에스피지
- 동사는 정밀 제어용 모터 및 감속기 부품 개발, 생산 및 판매를 주 영업목적으로 1991년 3월21일 설립, 동사는 삼성전자, LG전자의 최첨단 PDP, LCD 라인 뿐만 아니라, 미국의 GE, Whirlpool에도 공급하고 있습니다.
- 정밀 제어용 기어드 모터의 주요 기능은 자동화 시스템 및 가전기기 등에 사용되는 정밀 제어용 모터에 기어 박스 세트(감속 기어)를 부착하여 무거운 것을 운반하거나 들어 올릴 수 있는 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2024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1% 감소, 영업이익은 49.1% 감소, 당기순이익은 42.2% 감소, 국내외 산업자동화 경기 둔화와 가전 경기 침체로 인해 전기 대비 매출과 이익이 감소하였습니다.
- 성신과의 합병 후 국내 소형 기어드 모터 시장 판도가 국산품 위주로 변화되기 시작하였으며, 동사의 생산증가는 일본제품에 의존하던 국내 시장에서의 수입대체 효과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오늘 블로그에서는 로봇 관련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성공투자 하세요.
댓글